[글로벌 경제] 美 양적완화 축소 경제회복에 ‘발목’

[글로벌 경제] 美 양적완화 축소 경제회복에 ‘발목’

입력 2013-11-12 00:00
업데이트 2013-11-12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셧다운 불구 신규 고용 늘어, 연내 테이퍼링 시작 전망 커져

지난달 미국 ‘연방정부 일시 폐쇄’(셧다운) 사태에도 불구하고 10월 고용지표가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양적 완화 조기 축소’(테이퍼링) 주장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시작으로 막 기지개를 켜려는 세계 경제가 다시 발목을 잡힐 것인지 주목된다.

지난 8일(현지시간) 미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자 수는 20만 4000명으로 당초 12만명 증가를 전망한 경제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민간부문 고용은 21만 2000명으로 지난 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 기업들이 셧다운과 무관하게 고용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노동부가 8월과 9월 발표했던 고용지표도 이날 각각 4만 5000명, 1만 5000명씩 상향 조정됐다. 3개월 평균 신규 고용자 수는 월 20만 2000명, 연간 평균 신규 고용자 수는 월 19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3분기 경제성장률(GDP)이 시장 전망(2.0~2.5%)을 크게 웃돈(2.8%) 상황에서 고용 지표까지 호조를 보이면서 연내 테이퍼링이 시작될 것이란 전망도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미국의 경제상황과 고용 부진을 테이퍼링 연기 이유로 꼽은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0일 ‘테이퍼링에 정해진 시간표는 없다’는 버냉키 의장의 과거 발언을 인용한 기사에서 “이번 고용지표는 누가 봐도 테이퍼링을 앞당길 수 있는 호재”라면서 양적 완화 조기 축소론에 무게를 실었다. 월가의 커먼웰스은행은 “고용과 GDP가 셧다운의 영향을 피해갔다”면서 12월 테이퍼링이 가능하다고 밝혔고, 당초 내년 3월을 예상 시점으로 전망했던 ING은행도 12월이나 내년 1월을 테이퍼링 적기로 꼽았다.

반면 최소한 다음 달 고용지표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이언 셰퍼드슨 판테온매크로이코노믹스 수석 분석가는 “다음 달에도 고용자 수가 20만명 이상 늘어난다면 그때는 양적 완화를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9일 경제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년 3월부터 테이퍼링이 시작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14명)했다고 10일 보도했다.

오는 14일 열리는 재닛 옐런 차기 FRB 의장 후보의 인사청문회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22명인 상원 금융위원회의 절반 이상이 민주당 소속인 만큼 가결은 확실한 가운데 지도력을 인정받은 옐런이 FRB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힐 예정이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고용지표를 중시한 버냉키 의장보다 ‘비둘기파’(온건파) 성향이 더욱 강한 옐런의 입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11-12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