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현장서 희망찬 출발…이곳은 회복과 기억의 상징”

“역사적 현장서 희망찬 출발…이곳은 회복과 기억의 상징”

입력 2014-11-05 00:00
업데이트 2014-11-05 0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뉴욕 ‘원월드트레이드센터’ 첫 입주 표정

세계 최강의 권력을 지닌 미국이 13년 전 허망하게 ‘침공’당했던 그 자리, 누군가의 가족이자 친구인 2800명이 못다 한 말들과 함께 묻힌 그 자리, 바로 그 뉴욕 맨해튼의 월드트레이드센터가 3일(현지시간) 다시 문을 열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쁘면서 슬픈 월요일 아침”이라고 표현했다. 미 역사상 최악의 참사인 9·11테러 현장 부지에 기업들이 처음으로 입주한 날이었다.
이미지 확대
9·11테러 13년 만에… 원 월드트레이드센터 집들이
9·11테러 13년 만에… 원 월드트레이드센터 집들이 2001년 9·11테러로 무너진 지 13년 만에 기업들의 입주가 시작된 미국 뉴욕의 ‘원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3일(현지시간) 첫 입주사인 대형 출판업체 콘드 나스트의 직원들이 새 사무실이 있는 63층에서 전망을 감상하고 있다.
뉴욕 AFP 연합뉴스


월드트레이드센터 부지에 새로 지어진 ‘원월드트레이드센터’에 가장 먼저 출근한 이들은 대형 출판업체인 콘드 나스트의 직원 175명이다. 직원 메리 앤 케이시는 WSJ에 “그날(13년 전)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하면 너무 비극적이지만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것이고 서반구에서 가장 큰 건물에서 일할 기회를 가진 것을 기뻐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 역시 “새로운 시작이자 새로운 장이 열렸다고 생각한다”면서 “역사적인 현장에서 근무하는 것이 매우 흥분된다. 희망차고 긍정적인 출발로 삼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직원뿐만이 아니다. 뉴욕·뉴저지항만청의 패트릭 포예 이사도 “뉴욕시의 스카이라인이 다시 살아났다”고 감격했다. 뉴욕 당국은 “이곳은 회복과 기억의 상징”이라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미국의 독립선언이 있었던 해를 기념해 541m(104층 규모) 높이로 건립된 ‘원월드트레이드센터’는 이른바 ‘그라운드 제로’에 세워지는 7개 빌딩 중 가장 높을뿐더러 미국 내에서도 최고층이다. 건립 과정이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총 39억 달러(약 4조 1870억원)가 들어간 이 건물은 자금난과 정치적 논란까지 겹쳐 완공되기까지 8년이 걸렸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현재 이 빌딩의 입주 계약은 전체 부지의 60%가량이 끝난 상황이다.

과정이야 어찌 됐든 잿더미 속에서 피어난 ‘13년 만의 장밋빛 부활’을 지켜보는 미국인들의 가슴은 먹먹하다. 폐허에서 비즈니스 새 중심지로의 도약을 꿈꾸는 건물을 바라보며 9·11테러로 아들을 잃은 전직 소방관 리 아이엘피는 말한다.

“우리가 바라던 것보다 훨씬 오래 걸렸지만 그래도 기쁩니다. 하지만 여기에 왜 이 빌딩을 새로 짓게 됐는지 그 이유를 절대 잊어서는 안 됩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11-05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