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직무박탈’ 모의 놓고… 美 쿠데타 논란

‘트럼프 직무박탈’ 모의 놓고… 美 쿠데타 논란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2-19 22:22
업데이트 2019-02-2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FBI 前부국장·법무 부장관 2년전 논의에 폭스뉴스 “쿠데타” WP “헌법에 따른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2017년 자신의 탄핵 논의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앤드루 매케이브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대행과 로드 로즌스타인 법무부 부장관을 겨냥해 “불법적이고 반역적 행동을 했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역적이라고 표현한 것은 2017년 자신에 대한 탄핵 모의 의혹 때문이다. 매케이브 전 국장대행은 지난 17일 자신의 책 ‘위협’ 출간을 앞두고 가진 CBS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5월 제임스 코미 당시 FBI 국장을 해임했을 때 로즌스타인 부장관과 수정헌법 25조 적용, 대통령의 직무박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수정헌법 25조는 내각이 대통령의 직무수행 불능 여부를 판단하고 승계를 진행하는 절차가 담긴 조항이다. 결국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을 끌어내리려는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평론가 댄 본지노가 폭스뉴스에서 이들의 수정헌법 25조 논의를 ‘쿠데타’라고 표현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본지노의 쿠데타 표현을 두고 “맞는 말”이라고 맞장구쳤다.

하지만 워싱턴포스트 등은 “헌법에 따라 대통령을 물러나게 하는 것은 쿠데타가 아니다”라면서 폭스뉴스 출연자들이 잘못된 표현을 썼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9-02-20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