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50명 잃은 13일 만에 하와이 간 바이든

국민 850명 잃은 13일 만에 하와이 간 바이든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3-08-22 23:50
업데이트 2023-08-22 2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불 늑장 대응 논란 진화 안간힘
연방정부 차원 수습·복구 재약속

이미지 확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하와이 대형 산불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마우이섬 참사 현장을 찾아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산불 발생 13일 만인 이날 부인 질과 함께 피해 현장을 살피고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을 재차 약속하며 늑장 대응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애썼다.

마우이섬 카훌루이 공항에 도착한 바이든 대통령 부부는 마중 나온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 부부와 주의회 대표단 등에 애도를 전했다. 이후 전용헬기 ‘마린 원’을 타고 최대 피해를 본 마우이섬 라하이나로 이동해 하늘에서 20분간 피해 상황을 살폈다. 이어 걸어서 불에 탄 건물과 반얀트리, 마을을 둘러보고 보고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주 한미일 정상회의를 마친 뒤 네바다주 타호 호수에서 2차 휴가 중이었지만 여론 악화를 의식한 듯 휴가를 일시 중단한 채 하와이를 찾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불에 탔지만 쓰러지지 않고 살아남은 150년 된 반얀트리 근처에서 “나무는 불탔으나 여전히 서 있다. 이번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하는 일을 보여 주는 매우 강력한 상징이라고 믿는다”고 연설했다. 이어 “불은 뿌리까지 닿을 순 없으며 그것이 바로 마우이와 미국”이라면서 “하와이 주민에게 약속하건대 우리는 필요한 만큼 여러분과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 정부가 마우이섬의 땅, 문화, 전통을 존중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라하이나가 옛 하와이 왕국 수도였던 점을 고려한 듯 복구·재건을 언급하며 “하와이 왕국”이라는 표현을 여러 차례 썼다. 라하이나 장로들이 집전한 원주민 전통 행사에도 참석했다.

그러나 최소 114명이 사망하고 850명이 실종 상태인 이번 산불은 실종자를 고려하면 사망자가 1000명에 육박할 가능성이 높다. 황폐해진 라하이나 재건에는 적어도 몇 해가 걸릴 것이라고 AP통신은 전망했다. 한편 마우이 소방국에 따르면 지난 8일 3곳에서 발생한 산불이 아직 진압되지 않은 상태로 주요 피해 지역인 라하이나의 산불은 90%, 올린다와 쿨라 지역의 산불은 각각 85% 꺼졌다.

미 정부는 산불 이후 미숙한 재난 대비, 느린 구호 대처 등으로 현지 주민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이날 라하이나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탄 차량이 거리를 지나갈 때 일부 주민들은 가운뎃손가락을 들어 보였으며 ‘라하이나 주민들에 귀 기울이라’, ‘조는 집에 돌아가라’, ‘트럼프가 이긴다’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서 있기도 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백악관은 앞서 대통령이 구조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현장을 즉각 방문하지 않았다는 해명을 냈다. 이날은 성명을 내고 연방정부가 임대료 지원을 포함해 2700여 피해 가구에 820만 달러(약 109억 7000만원) 이상의 지원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2023-08-23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