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에게 “직원 복지비용 내세요”…뛰는 물가 위 나는 ‘팁 인플레이션’[특파원 생생리포트]

손님에게 “직원 복지비용 내세요”…뛰는 물가 위 나는 ‘팁 인플레이션’[특파원 생생리포트]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3-08-29 00:05
업데이트 2023-08-29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식값 외 5% 복지비 부과 논란
‘팁의 본고장’ 미국서 불만 이어져

이미지 확대
미국 버지니아주의 한 주민이 식당에서 음식값, 팁과 별도로 ‘웰니스 차지’(복지비)를 부과했다며 인터넷에 식당 영수증 사진을 올렸다. 넥스트도어 캡처
미국 버지니아주의 한 주민이 식당에서 음식값, 팁과 별도로 ‘웰니스 차지’(복지비)를 부과했다며 인터넷에 식당 영수증 사진을 올렸다.
넥스트도어 캡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물가 상승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에서 ‘팁 인플레이션’이 논란을 낳고 있다. 식당 종업원이나 배달 종사자들에게 주는 팁(봉사료)에 ‘직원 복지비’ 명목의 요금까지 손님에게 부과하는 식당들이 등장해 온라인 설전이 벌어졌다.

최근 워싱턴DC에서 현지 음식을 파는 인기 캐주얼 레스토랑 ‘파운딩 파머스’가 팁 논쟁에 휘말렸다.

미국판 ‘당근마켓’인 넥스트도어 애플리케이션에는 식당 영수증 사진과 함께 “직원 정신건강 복지비를 손님에게 내라니요”라는 하소연 글이 올라왔다. 이 고객은 파운딩 파머스 버지니아주 지점에서 지인들과 저녁 식사를 즐겼는데, 영수증을 받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튀김과 새우 요리 등 요리 3개 가격은 49.48달러, 세금은 3.12달러인데 그 밖에 ‘웰니스 차지’(복지비) 2.47달러가 추가로 붙은 것이다.

이상하게 여긴 그가 매니저에게 문의하자 ‘직원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음식값의 5%가 웰니스 차지로 부과된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관련 설명이 메뉴판 아래 아주 작은 글씨로 쓰여 있어 알아보지도 못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식당들이 고전한 것은 알지만 이는 손님에 대한 모욕이다. 고객에게 인질처럼 웰니스 차지를 물릴 게 아니라 선택권을 줘야 한다”고 했다. 그는 식당에 항의하고 웰니스 차지 요금을 내지 않았다.

레스토랑은 지난 6월 홈페이지에 올린 ‘고객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웰니스 차지 도입을 안내하며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공평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직원들의 무료 정신건강 지원, 건강보험 이용, 유급 병가 등 늘어난 운영비용에 충당한다”며 “의무는 아니다”라고 했다. 코로나19 이후 팁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5% 안팎이던 팁이 대도시에서는 최소 20%에서 최대 45%까지 늘어났다. 스타벅스 같은 테이크아웃 카페에서도 카드 결제 무인 시스템을 통해 팁을 요구하면서 팁의 본고장인 미국에서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도시 식당들 위주로 등장한 웰니스 차지에 대해서도 쓴소리가 나오는 분위기다.

300개에 가까운 댓글들은 식당을 향한 비판이 주를 이뤘다. 지역 주민 앤 애셔는 “식당이 부정직하다”며 “손님에게 직원 복지비를 청구할 게 아니라 직원들에게 노동에 걸맞은 급여를 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댓글에는 “음식이 맛있고 식당이 깨끗한지, 즐거운 경험이었는지 등을 넘어서 웰니스 차지가 우리에게 사회적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나는 앞으로 이 식당에 갈 것 같지 않다”고 쓰였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2023-08-29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