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여성, 1만원때문에 불임시술 강요받아

인도 여성, 1만원때문에 불임시술 강요받아

입력 2013-06-12 00:00
업데이트 2013-06-12 1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 느는데 산아제한 정책 없어…여성 건강 위협 받기도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고심하는 인도 정부가 체계화된 산아제한정책 없이 여성들에게만 불임 시술을 사실상 강요해 비판받고 있다.

가난한 인도 여성들은 소액의 지원금을 받으려고 피임 방법을 선택할 권리도 없이 수술대에 오른다.

아울러 비위생적인 병원에서 무분별하게 진행되는 불임 시술은 인도 여성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인도 북부 비하르주(州)에 사는 수마티 데비(25)는 집 근처의 허름한 병원에서 불임 시술을 받고 정부로부터 10 달러(약 1만1천원)를 받았다.

인도에서 10 달러는 빈곤층 가정이 약 1주일간 생활할 수 있는 큰돈이다.

세 자녀의 엄마인 데비는 병원 회복실의 콘크리트 바닥에서 누워 시술 전 불임 시술이 어떤 방법으로 이뤄지며 다른 피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데비는 “자포자기 상태”라며 “공무원들이 가난한 우리에게 찾아와 이게 최선이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이 병원의 의사 A.K. 다스는 불임 시술 시간이 채 3분도 되지 않는다고 고백한다.

청바지 차림에 슬리퍼를 신고 수술대 사이를 분주히 옮겨다니는 그는 녹슨 메스를 들어 보이고는 “이렇게 더러운 도구는 시술 후 감염 위험을 크게 높인다”고 밝혔다.

인도의 인구는 매년 약 1천800만 명씩 늘어 2021년에 중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인도의 산아제한 정책은 불임 수술 장려 이외에 전무한 수준이다.

인도 여당 의원인 나빈 진달은 “전투에서 한 종류의 무기로 승리를 기대할 수 없다”며 “강압적인 불임수술만으로는 산아제한 정책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1979년부터 벌금 부과, 사회보장혜택 미제공 등 다양한 산아제한 정책을 편 중국과 달리 인도의 정책은 여성의 임신 선택권을 철저히 통제하는 방향으로만 흐른다고 지적했다.

유엔의 자료를 보면 인도 부부의 49%는 피임을 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약 75%는 여성이 불임 시술을 받는 방법을 선택하며 남성이 불임 시술을 받는 경우는 전체의 4%에 불과하다.

휴먼라이츠로네트워크(Human Rights Law Network) 뉴델리 지부에서 일하는 케리 맥브룸은 “정부도 남편도 여성에게 불임 시술을 묻기보다는 이를 강요한다”고 비판했다.

인도 인구재단에서 일하는 소나 샤르마는 “인도에서 피임은 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남성들은 불임 시술 후 정력에 문제가 생길까 여성에게 피임의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