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反中시위 사흘째…긴장감 속 中 정부 대응 부심

홍콩 反中시위 사흘째…긴장감 속 中 정부 대응 부심

입력 2014-09-30 00:00
업데이트 2017-07-20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정부 ‘강경 입장’ 견지 속 발포계획說도 나와

홍콩 시민의 반(反)중국 시위가 30일로 사흘째 이어지면서 중국 당국과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시위가 ‘제2의 톈안먼(天安門) 사태’로 발전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오는 가운데 홍콩 행정 당국과 중국 정부는 대응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 사흘째 도로점거 시위…행정장관 퇴진 요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의결한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에 반대하는 홍콩 시민과 학생들이 사흘째 도심 점거 시위에 나서면서 일부 지역 은행과 학교의 휴업도 이어지고 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이날 오전 21개 은행, 31개 지점이 휴업한 것으로 집계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전날 23개 은행, 44개 지점보다는 휴업 은행과 지점 수가 줄었다.

렁춘잉(梁振英) 홍콩 행정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불법적인 행동이 중앙 정부의 결정을 변화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도심 점거 시위를 주도하는 시민단체 ‘센트럴을 점령하라(Occupy Central)’에 시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홍콩의 민주화와 자치를 중시하는 범민주파는 이를 거부한 채 렁 행정장관의 퇴진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날 오전 시위에 참가한 시민과 학생 수는 전날보다 크게 줄었지만, 업무와 수업이 끝나는 저녁에 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시민단체 등은 전날 저녁 홍콩섬 서부지역과 까우룽(九龍)반도 몽콕(旺角) 등의 거리 점거 시위에 참가한 인원을 10만여 명으로 추산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시위 여파로 전날 1.90% 급락한 데 이어 이날 오후 2시 현재(현지시간) 1%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 중국 정부, ‘강경 입장’ 속 대응 부심…발포계획說

중국 정부는 일단 홍콩 당국에 사실상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나서는 등 물러서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중앙정부는 홍콩에서 법질서와 사회안녕을 깨트리는 위법행위에 강력히 반대한다”면서 “우리는 특구정부의 ‘의법처리’를 충분히 신뢰하며 굳건히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관영 신화망(新華網)은 이날 중국과 홍콩 정부가 일단 현 상황이 정치개혁을 추가로 논의할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 제2차 정치개혁에 관한 공청회를 취소키로 했다고 전했으나 홍콩 시위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소개하지는 않았다.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격화되는 홍콩의 반(反)중국 시위를 진압하려고 시위대에 발포할 계획까지 수립했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중화권 매체 보쉰(博迅)은 이런 내용을 전하면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홍콩 사태는 인민들과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며 이 계획을 만든 실무진을 질책했다고 전했다.

홍콩 당국은 현재 시위대 해산 촉구를 위해 최루탄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경우 발포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오고 있다.

◇ 중국 당국-시위대 ‘평행선’에 조기해결 난항 예상

중국으로서는 이번 홍콩 사태에서 물러선다는 것은 앞으로 대만과의 통일 과정에서도 적용해야 할 ‘일국양제’(一國兩制)의 원칙이 흔들린다는 의미가 있다.

중국은 전인대가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때 1200명의 후보추천위원 중 절반 이상의 지지를 얻은 2∼3명의 후보에게만 입후보 자격을 부여키로 한 결정을 번복할 의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반해 홍콩 시위대는 우산으로 경찰의 최루액과 최루탄 가스를 막아낸 것을 상징하는 ‘우산혁명 로고’까지 만들며 반중국 시위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중국 정부와 시위대가 평행선을 달리면서 조기 해결이 어려워지면 1989년 ‘6·4 톈안먼 사건’ 당시와 같은 사태로까지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흘러나온다.

홍콩시민의 시위에 대한 중국 정부와 외부 시각이 엇갈리는 점도 주목된다.

중국 관영 인민망(人民網)은 이날 “중국 정부만큼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바라는 나라의 정부는 없다”면서 “소수 인사와 소수 세력이 홍콩이 중국에 뿌리를 박고 발전한다는 영원히 변할 수 없는 현실의 기초를 흔들고 있다”고 시위대를 겨냥했다.

하지만, 1997년 홍콩 주권의 중국 반환 직전까지 홍콩을 통치했던 영국의 닉 클레그 부총리는 2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홍콩 거리로 나온 용감한 친(親) 민주주의 시위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영국 외무부와 미국 정부, 대만 정계도 잇따라 홍콩 시위대의 민주주의 요구를 지지한다는 견해를 밝혀 사태 추이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