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이어 미국도 5월 중순까지 車공장 재가동

유럽 이어 미국도 5월 중순까지 車공장 재가동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4-28 15:59
업데이트 2020-04-28 1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너럴모터스(GM) 로고. 서울신문 DB
제너럴모터스(GM) 로고. 서울신문 DB
코로나19 사태로 벼랑끝에 내몰린 제너럴 모터스(GM), 포드, 피아트크라이슬러(FCA) 등 미국 자동차 빅3가 오는 5월 18일(현지시간) 미국 내 공장을 재가동할 계획이다. 미국 자동차 생산은 신종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지난달 20일 전후 완전히 중단됐고, 이들 자동차 업체는 자동차 생산 대신 일부 공장에서 인공호흡기 등을 생산해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3사 임원들은 27일 전미자동차노동조합(UAW) 집행부,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주 지사와 회동을 한 뒤 생산 재개 일정을 이 같이 잠정 결정했다. UAW 지도부는 다음달 초 공장 가동 재개는 노동자들의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한 사전 예방조처를 준비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며 반대한 바 있고, 휘트머 주지사도 비필수적 사업장을 폐쇄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다음달 15일로 연장한 상태다.

소식통들은 최근 노조와 경영진 간 대화에서 노동자들의 위험을 낮춰줄 방안들에 대한 논의가 오갔고, 마침내 노조가 가동 재개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빅3 자동차 공장들이 미시간주보다 경제활동 재개가 먼저 이뤄지는 주도 있지만, 미 전역의 빅3 공장 재가동은 다음달 18일 이후가 된다고 덧붙였다. 미국 자동차 3사는 노동자들에게 보호장구를 제공하고, 작업공간 간 칸막이 설치 등을 통해 공장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다만 UAW 대변인은 WSJ의 논평 요청을 거부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자동차 3사 경영진은 이 기간 UAW와 노동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최종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또 자동차 부품 공급 업체들은 부품출하를 본격적으로 준비할 수도 있게 됐다. 부품 공급업체들은 빅3 공장 재가동 시기가 불확실해 납품 계획을 짤 수도 없었다. 노조가 없는 남부에 공장들이 있는 외국 자동차 업체들도 미국내 생산 재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는 5월 4일부터 일부 공장을 재가동하기로 했고, 혼다는 재가동 시점을 다음달 11일로 정했다.

이에 앞서 독일 폭스바겐이 이번 주부터 생산을 재개하는 등 유럽 자동차업체들도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지난 23일 폭스바겐의 전기차 생산거점인 츠비카우 공장을 일부 가동에 들어갔지만, 볼프스부르크 공장을 재가동하며 본격적인 정상화 작업에 돌입했다. 베른트 오스텔로 폭스바겐 근로자위원회 위원장은 “27일은 독일 자동차 독일 자동차 산업이 다시 돌아오는 날이다”라며 “폭스바겐은 자동차를 다시 생산하기 위해 지난 5주간 철저히 준비했다”고 말했다.

BMW는 오는 5월 4일 영국 굿우드를 시작으로 11일 독일 딩골핑, 18일 이후 독일 라이프치히와 레겐스부르크 등 공장 재가동 계획을 밝혔다. 메르세데스 벤츠 진델핑겐과 브레멘 공장도 증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외에 유럽 국가들도 속속 생산재개에 동참하고 있다. 피아트크라이슬러(FCA)도 이번주 27일부터 이탈리아 중부에 위치한 세벨공장을 열었다. 회사 측은 가동률 70~80%를 예상했다. 프랑스에선 도요타 발랑시엔 공장과 르노 클레옹 엔진공장이 가동된다. 르노는 파리 서부에 위치한 프란 공장을 일부 가동한다. 전체 인력의 25%가 작업에 투입된다. 볼보 역시 이번주 스웨덴 토르슬란다 공장에서 출고를 시작한다. 하칸 사무엘손 볼보자동차 CEO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만들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라며 “유럽 경제가 멈춰설 위기다. 안전한 방법으로 생산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