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한국처럼 돼서는 안 돼”<스웨덴 신문>

“교육, 한국처럼 돼서는 안 돼”<스웨덴 신문>

입력 2013-10-30 00:00
업데이트 2013-10-3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당 60시간 공부…학생들 억눌려 있어”

유애리 통신원= 한국의 교육 수준이 높지만, 그 성과의 이면에는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 스웨덴 언론으로부터 나왔다.

스웨덴 일간지 아프톤블라뎃은 스테판 로벤 사민당 대표의 최근 방한 관련 특집 기사를 통해 한국교육의 명암을 해부했다.

아프톤블라뎃은 ‘지식이 전부, 그러나 대가가 있다’는 제목의 28일(현지시간) 기사에서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2000년 24%에서 2010년 40%로 상승해 진학률 목표를 80%로 새로 설정했다고 소개했다.

한국 15세 청소년의 수학, 과학, 읽기이해 능력이 2009년 65개 조사 국가 중 핀란드 다음으로 우수하다는 점도 거론했다. 스웨덴 학생은 28위라고 비교했다.

이 신문은 한국 학생들이 우수한 이유로 교육을 중시하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사회 분위기, 특히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꼽았다.

학생들은 하루 최대 17시간을 공부하며 대다수는 방과 후 사설학원까지 다닌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이밖에 교사의 처우가 좋은 것도 이 같은 배경으로 분석했다.

신문은 그러나 한국 교육이 거둔 성과의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면들을 지적하며 한국을 벤치마킹하는 것에 경계감을 드러냈다.

스웨덴 국영 방송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한국의 교육 기적’을 인용, 한국의 우수한 학생들의 뒷모습에는 한 달에 6천 크로나(한화 100만원)의 사교육비와 산업화한 학원가가 있다고 지적했다.

학생들이 방과 후에도 학원에서 밤늦게까지 공부해야 하는 현실 탓에 하루에 4시간밖에 못 자며 혹사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근 한국 학교 4곳의 수업을 참관한 스웨덴 교육 전문가 안나-마리아 마틴손은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너무 교과서와 시험 위주다. 학생들이 그룹활동을 통해 서로 교류하거나 자율로 할 수 있는 여지가 극히 적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이 억눌려 있다”며 스웨덴 교육개혁에 한국을 참고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라쉬 다니엘손 주한 스웨덴 대사는 “청소년에 대한 압박이 심한 것을 주의해야 한다. 장기적인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사민당의 로벤 대표는 “스웨덴은 교육 수준을 올려야 하지만 학생들이 주당 60시간 이상 공부해야 하는 이곳처럼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