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21만명 엑소더스

우크라 21만명 엑소더스

입력 2014-09-06 00:00
업데이트 2014-09-06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 취직·주택 제공 등 대이주 정책에 새 삶 찾아 국경 넘어

수십만명의 우크라이나 국민이 내전 중인 조국을 떠나 러시아에서 새 삶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올가 골로데츠 러시아 부총리는 “(내전 발발 이후) 약 20만 7000명의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의 영토로 들어왔다”면서 “이 중 대부분은 아예 러시아 땅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5만명의 우크라이나 어린이가 러시아 학교에 등록했고, 1만 2800명의 성인이 러시아에서 직업을 구했다고 설명했다.

골로데츠가 제시한 수치는 공식적으로 러시아 당국에 서류를 등록한 것만 계산한 것이라, 실제 이주민은 훨씬 많을 것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마주 대고 있는 로스토프 지방정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에만 4만 2718명의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로 국적을 옮겼다. 러시아 정부는 대규모의 이주 정책을 추진하며 이 같은 인구 유입에 불을 지피고 있다. NYT는 러시아의 이주 프로그램에 취직 보장, 주택 제공, 연금과 시민권 제공 등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를 떠나는 국민 대부분은 도네츠크와 루간스크의 반군을 지지하고 정부에 분노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서부 우파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긴 줄에 서 있던 도네츠크의 회계사 나탈리야 치불스카야는 “이 상황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다”면서 “키예프 사람들도 우리가 당한 일들을 겪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09-06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