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EU, 푸틴 추가제재… 이번엔 통할까

美·EU, 푸틴 추가제재… 이번엔 통할까

입력 2014-09-13 00:00
업데이트 2014-09-13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우크라이나 사태의 책임을 물어 러시아에 대한 추가 경제 제재 돌입을 결정했다. 다만 휴전협정이 유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이달 말쯤 제재 지속 여부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AP통신에 따르면 12일 미국은 새로운 대러시아 제재안을 발표했다.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 가스 기업 트렌스네트프, 에너지 기업 루코일, 가스프롬, 가스프롬네프트 등 금융, 국방, 에너지 관련 주요 러시아 공기업들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 EU의 신규 제재안은 이보다 조금 앞서 발효됐다. 러시아 대형 에너지 기업인 로스네프트, 트란스네프트, 가스프롬네프트 등 모두 6개 회사에 대해 만기 30일 이상 채권 발행과 주식 거래를 금지했다. 전투기, 탱크와 헬리콥터를 각각 만드는 통합항공사, 우랄바곤자보드, 오보론프롬 등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또 우크라이나 동부 반군 지도자와 러시아 정부 인사, 기업인 등 24명에 대해 EU 회원국 입국을 금지하고 자산을 동결했다.

이런 제재 조치에 대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데 이용되고 있다”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역 정치·경제 협력체인 상하이협력기구(SCO) 참석차 타지키스탄 수도 두샨베에서 열린 SCO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여기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 비밀회담을 여는 등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복 수위도 주목된다. 농산물 수입금지 조치에 이어 가스 공급 중단도 유력하다. 러시아 측은 부인하고 있지만 이미 폴란드에 이어 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도 러시아에서 오는 가스 공급이 줄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공 통과 금지와 주요 공산품 수입금지 등 후속 조치가 거론되고 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9-13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