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지구 온난화 덕에 모래 수출하나

그린란드, 지구 온난화 덕에 모래 수출하나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9-02-12 13:42
업데이트 2019-02-12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빙하 녹으면 해수면 7m 상승

2017년 5월 그란란드 남쪽의 피오르드(빙하로 인해 생긴 깊은 골짜기)에 물이 차오른 모습.  그린란드 UPI 연합뉴스
2017년 5월 그란란드 남쪽의 피오르드(빙하로 인해 생긴 깊은 골짜기)에 물이 차오른 모습.
그린란드 UPI 연합뉴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지속적으로 녹게 되면 북극에 인접한 그린란드가 모래와 자갈을 수출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콜로라도대 북극·알파인연구소 등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서스테이너빌러티’에 게재한 ‘그린란드의 모래 채취 전망과 위험’ 보고서를 통해 “지구 온도 상승으로 인해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은 약 7m까지 상승할 수 있다”면서 “그러면 더 많은 모래와 자갈이 그린란드의 피오르드 해안으로 운반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를 주도한 콜로라도대 메테 벤딕슨 박사는 “(녹는 빙하가) 해안에 침전물을 쏟아내는 수도꼭지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는 그린란드 주민 5만 6000명이 건축자재로 널리 쓰이는 모래와 자갈 채취 덕분에 경제적 이득을 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자치령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전 세계 모래 수요는 약 95억 5000만t으로 시장 가치는 약 995억 5000만 달러(약 112조원)에 달했다. 오는 2100년에는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시장 가치가 약 48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벤딕슨 박사는 “그린란드는 기후 변화로 인한 도전으로부터 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지만 해안 지역의 모래와 자갈 채굴이 이 지역 어업에 끼칠 위험성은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구 온난화 정도를 쉽게 보여주는 빙하 해빙은 지구촌 곳곳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가디언은 지난달 21일 최근 남극 빙하 해빙 속도가 40년 동안 6배 빨라졌다는 연구에 이어, 그린란드 빙하 해빙 속도도 10년 새 4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마이클 비비스 미 오하이오주립대 교수팀은 그린란드 빙하가 과학자들이 예상했던 속도보다 빨리 녹고 있으며, 2003년 이후 손실 속도가 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