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북극여우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캐나다 76일 만에 3500㎞ 주파

어린 북극여우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캐나다 76일 만에 3500㎞ 주파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7-02 06:53
업데이트 2019-07-02 06: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니버설 이미지 그룹 제공 AFP 자료사진
유니버설 이미지 그룹 제공
AFP 자료사진
어린 북극여우의 행적을 추적하던 과학자들이 할말을 잃었다. 그린란드의 일간 세르 미 띠끄(Sermitsiaq)가 노르웨이의 스발바르 제도를 떠나 캐나다 북부까지 3506㎞를 76일 만에 걸어간 북극여우에 노르웨이 극지연구소 과학자들이 놀라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고 영국 BBC가 1일(현지시간) 전했다.

과학자들이 어린 암컷의 몸에 GPS 추적 장치를 달아 야생 상태로 스발바르 제도의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 섬 동쪽 해안에서 풀어준 것이 지난해 3월이었다. 서쪽을 향해 걸으며 먹이를 찾던 녀석은 21일 만에 그린란드에 이르러 1512㎞를 주파했다. 그리고 2000㎞ 가까이를 더 걸어 스발바르를 출발한 지 76일 만에 캐나다 엘레스미어(Ellesmere) 섬에 이른 것이다.

과학자들이 놀라워하는 것은 긴 여정만이 아니라 하루 평균 46㎞를, 어느 날은 155㎞를 걸을 정도로 이 북극여우가 엄청난 스피드광이란 사실이었다.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의 에바 푸글레이는 공영 NRK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처음에 우리가 본 것을 믿을 수가 없었다. 아마도 죽었거나, 설사 그곳에 왔더라도 배를 타고 왔을 것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그 지역 근처에 어떤 배의 흔적도 없었다. 우리는 완전히 얼어붙었다”고 털어놓았다.

북극여우가 이렇게나 빨리 이동했다는 기록은 이전에 없었다. 노르웨이 자연연구소의 아르노 타룩스(Arnaud Tarroux)는 북극 시즌이 극적으로 바뀐 것이 이 어린 암컷의 놀랍도록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보고 있다. 그녀는 “여름에는 충분한 먹잇감이 있지만 겨울에는 먹이 구하기가 힘들어진다. 이 북극여우는 때로는 그저 먹이를 찾기 위해 다른 지역에 들어갔지만 우리가 전에 추적했던 어느 다른 여우보다 더 멀리 나아갔다. 이 작은 생명체가 갖고 있는 특별한 능력 때문”이라고 말했다.

극지연구소는 이 여우가 그린란드 북부를 가로지를 때 두 차례 발길을 멈춘 것에 주목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그 녀석이 악천후 때문에 털이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몸을 돌돌 말아 앉아 있었거나 조류의 둥지 같은 먹을거리를 찾아내 한참 머무른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지난 2월부터 송신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그 어린 여우가 캐나다에서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또 푸글레이는 그 녀석이 식습관을 바꾼 것이 생존을 가능케 한 열쇠라고 보고 있다. 스발바르 제도에서의 여우들은 주로 바다에서 먹이를 찾는데 엘레스미어 섬의 여우들은 레밍(툰드라 지역의 작은 설치류)을 먹는데 문제의 여우도 레밍을 잡아먹고 버틴 것으로 보고 있다.

북극 얼음이 사라지는 것도 여우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녀석들은 더 이상 아이슬란드를 찾을 수도 없다. 스발바르에 사는 동물들은 훨씬 더 고립되게 됐지만 높은 기온 탓에 스발바르 순록들이 죽는 일이 많아 여우들이 그 시체 더미를 청소해 버틸 수 있었다는 가설이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