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청도 불황의 그늘

교황청도 불황의 그늘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9-04 20:50
업데이트 2019-09-05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정적자 급증에… 교황 “지출 합리화”

바티칸 교황청의 형편이 악화돼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청 관리들에게 재정적자를 줄이고 지출과 투자를 합리적으로 관리할 것을 지시했다. 교황의 조치는 교황청의 지난해 재정적자가 전년보다 2배나 늘어난 7000만 유로(약 931억원)로 급증한 탓이다. 교황청의 지난해 예산은 3억 유로 정도다.

교황청의 적자는 비효율적인 자금 관리 때문이다. 교황청 내 일자리는 중복되기 일쑤여서 직원 급여가 교황청 예산의 45%를 차지할 정도다. 값비싼 자동차를 사들이는 등 물품 구입에 낭비되는 비용도 많고 투자수익도 부진했다. 로마 주변의 부동산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고 임대료가 걷히지 않은 곳도 있다. 이 같은 부실 관리에는 재정 책임자들이 자리를 비운 것도 한몫했다. 교황청 재무원장인 조지 펠 추기경이 아동 성학대 혐의로 수사와 재판을 받기 위해 모국인 호주로 떠난 이후 이 자리는 2년 넘게 공석이다.

문제는 교황청의 재정적자가 심해지면 교황의 외교·선교 활동이 위축되고 중요한 가톨릭 유적 보존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데 있다. 교황청 직원들의 연금 역시 타격을 받는다. 이에 따라 교황청은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올가을 금융재정 담당자를 밝힐 계획이다. 18억 유로에 이르는 교황청의 금융자산과 로마에 있는 부동산 자산의 수익률 개선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9-05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