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 1300년 전 야생쥐 ‘레밍’ 시베리아서 발견

4만 1300년 전 야생쥐 ‘레밍’ 시베리아서 발견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1-02 20:58
업데이트 2020-01-03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극 생태계 포유류 진화 이해에 중요”

이미지 확대
레밍
레밍
러시아 시베리아의 영구 동토에 4만년 이상 묻혔던 것으로 추정되는 거의 온전한 형태의 레밍(야생 쥐의 일종) 미라가 공개됐다. 가장 오래된 레밍으로, 오늘날 생존하는 시베리아 갈색 레밍보다 약간 더 크다.

2일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과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레밍 미라는 2016년 시베리아 사하 공화국에 사는 11살 소녀가 북극권 한계선 인근 치레흐티아강 제방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소녀는 선사시대의 쥐를 연구하는 생물학교인 니키타 솔로모노프와 브야체슬라프 로즈노프에 레밍 미라를 넘겼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레밍 미라의 등과 옆구리, 복부 쪽에는 짙은 회색과 회갈색, 밝은 빛의 털이 붙어 있었다. 특유의 짙은 세로 줄무늬는 없었다. 레밍 미라의 길이는 16.5㎝였다. 레밍 미라의 내부 장기는 모두 사라졌지만, 두개골을 포함한 뼈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연구원 등은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 레밍 미라가 4만 1300년 이상 땅에 묻혀 있었다고 봤다. 레밍 미라는 허벅지 뼈가 부러진 채 발견됐으며, 죽은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데일리메일은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북극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포유류 그룹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01-03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