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아베 총리, 2024년까지 3년 더 집권?…레임덕 예방 명분 ‘4연임론’ 솔솔

日아베 총리, 2024년까지 3년 더 집권?…레임덕 예방 명분 ‘4연임론’ 솔솔

김태균 기자
입력 2019-02-24 15:24
업데이트 2019-02-24 15: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통산 재임 일수가 지난 23일로 역대 4위를 기록한 가운데 집권 자민당 내에서 ‘총재 4연임론’이 솔솔 나오고 있다. 현재의 당헌대로라면 2012년 이후 3연임째인 아베 총리는 2021년 9월 말 무조건 퇴임을 해야 한다. 연속 재임이 ‘최장 3연임 9년’으로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임기 제한에서 오는 ‘레임덕’(지도력 공백현상)을 막기 위해서라는 게 당내 ‘4연임론’을 펴는 세력의 표면적 논리이지만, 완전히 무시할 수만도 없는 얘기라는 경계감이 당 안팎에 퍼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아키타이누 안고 즐거워하는 아베 총리
아키타이누 안고 즐거워하는 아베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6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의 한 호텔에서 아키타이누(秋田犬)를 안고 즐거워하고 있다. 일본 아키타이누보존회는 한국 평창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알리나 자기토바 선수에게 아키타이누를 기증하기로 했고, 아베 총리의 러시아 방문에 맞춰 기증식을 가졌다. 자기토바 선수는 이 아키타이누에 대해 ‘승리’라는 뜻을 가진 ‘마사루’라는 이름을 붙였다. [일본 총리관저 제공=연합뉴스]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지난 18일 밤 유력한 차기 자민당 총재 후보군이자 중의원 당선 동기인 기시다 후미오 정조회장, 노다 세이코 중의원 예산위원장 등과 식사를 함께 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다음 총재 후보는 기시다 정조회장”이라고 말한 뒤 “나는 다음에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어차피 당헌상 다시 출마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굳이 이런 말을 한 것은 왜일까. 당 내부에 그가 4연임을 할수 있도록 당헌을 바꾸자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해석했다.

4연임 주장을 가장 적극적으로 펴고 있는 당내 파벌은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이 이끌고 있는 ‘니카이파’다. 최근 들어 니카이 간사장은 아베 총리의 4연임이 가능하도록 분위기를 띄우는 발언을 자주하고 있다. 그는 2017년 총재 임기를 기존의 ‘최장 2연임 6년’에서 ‘최장 3연임 9년’로 연장하는 당헌 개정을 주도, 아베 총리에게 역대 최장수 총리의 길을 터주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그는 ‘포스트 아베=아베’를 주장하면서 아베 총리 본인은 말하기 힘들 테니 내가 대신 나선다는 뉘앙스를 풍기며 생색을 내는 것도 잊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다른 파벌에서는 “아베 총리에게 점수를 따서 올 여름 참의원 선거 후에도 계속 간사장을 하겠다는 의도 아니냐”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니카이 자민당 간사장. 연합뉴스
니카이 자민당 간사장.
연합뉴스
현재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은 아베 총리가 속해 있는 ‘호소다파’(회장 호소다 히로유키 전 간사장)로 소속의원이 94명이다. 이어 ‘아소파’(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 59명, ‘다케시타파’(다케시타 와타루 총무회장) 55명, ‘기시다파’(기시다 정조회장) 48명, ‘니카이파’ 44명, ‘이시바파’(이시바 전 간사장) 20명, ‘이시하라파’(이시하라 노부테루 전 경제재생상) 12명 순이다.

4연임론에 대해 자민당 지도부의 한 인사는 “총리 4연임론은 선거 자체보다는 총리가 정국의 주도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자는데 더 큰 의미가 있을 것”라고 니혼게이자이에 말했다. 자민당 안에서는 지난해 9월 아베 총리의 3연임 직후부터 ‘포스트 아베’ 관련 논의가 쏟아지자 이제 막 세 번째 임기가 시작된 시점에서 차기에 대한 움직임이 나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베 총리가 4연임에 성공하면 2024년 9월까지 재임하게 된다. 당내 일부 움직임에 대해 아베 총리 본인은 “논의가 다소 이르다.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는 셈이다. 자신의 출마 여부와 상관 없이 레임덕을 막기 위한 의도에서 4연임론을 활용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