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 열린 유커… 日여행업계 기대 속 ‘전전긍긍’ [특파원 생생리포트]

빗장 열린 유커… 日여행업계 기대 속 ‘전전긍긍’ [특파원 생생리포트]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01-02 17:36
업데이트 2023-01-02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입국제한 해제에 관광계 환영
코로나 재확산 가능성에 불안감
뒤늦은 입국 규제에 일부 반발도

이미지 확대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의 고급 백화점인 마쓰야 긴자의 세금 환급 카운터 모습. 오는 8일부터 중국인 관광객 입국으로 이런 곳이 붐빌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의 고급 백화점인 마쓰야 긴자의 세금 환급 카운터 모습. 오는 8일부터 중국인 관광객 입국으로 이런 곳이 붐빌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오는 8일부터 입국 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일본의 기대와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일본 여행업계는 코로나19 확산 이전으로 관광 수익을 회복할 것을 기대하는 한편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에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2일 일본 출입국재류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일본에 입국한 중국인(홍콩 등 제외)은 2만 6478명이었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11월 64만 8590명의 4% 수준이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은 역대 최고인 950만명 수준으로 전체 방문객의 30%를 차지했다. 또 그해 중국인들의 일본 내 여행 소비액도 1조 8000억엔(약 17조 3400억원)으로 전체 여행 소비액의 40%에 달하는 등 중국인들이 일본 관광 경제를 책임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일본 여행업계가 중국인 관광 재개 방침에 기대가 큰 이유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빗장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중국에서 입국하거나 7일 이내 중국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경우 전원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했다. 또 코로나19 검사 후 확진이 나오면 7일간 격리하기로 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 1일 공항 입국자 중 확진자는 32명으로, 28명이 중국 체류 이력이 있었다. 요미우리신문은 “30일만 해도 입국자 가운데 4명뿐이던 확진자가 대폭 늘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규제 외에도 입국 가능한 공항 또한 제한했다. 중국·홍콩·마카오발 항공편에 대해서는 도쿄 나리타와 하네다, 오사카 간사이, 나고야 주부 등 4개 국제공항으로만 입국할 수 있게 했다.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홋카이도와 오키나와, 후쿠오카 국제공항으로의 입국을 막은 것이다.

하지만 일본에 이미 입국했던 홍콩 여행객들의 귀국 항공편에 제한이 생기면서 혼란이 커지고,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이 일본 정부에 항의하자 한발 물러서 3개 공항을 추가 개항하기로 했다. 다만 홍콩과 마카오발 입국자라 하더라도 탑승 일주일 전 중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면 3개 공항 이용이 불가하다.

일본 정부가 중국인 관광객을 통한 경기 부양을 기대하면서도 규제를 강화하는 데는 일본 내 코로나19 상황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지지통신은 “지난해 11월 들어서 급증하고 있는 데다 12월 27일에는 하루 사망자가 처음으로 4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글 사진 도쿄 김진아 특파원
2023-01-0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