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감시 당하는 사우디 여성들

24시간 감시 당하는 사우디 여성들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9-02-13 17:56
업데이트 2019-02-14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적앱 ‘앱셔’ 개발… 美의원 “즉각 삭제”
허용구역서 벗어나면 문자메시지 발송
애플·구글서 공급…비난 여론에도 침묵


‘여성 차별’ 논란이 끊이지 않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번엔 여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미국 정보통신(IT) 기업 애플과 구글이 이에 공조한 사실이 드러나 여성 억압에 일조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론 와이든 미 상원의원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애플과 구글의 최고경영자(CEO)에 서한을 보내 여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탑재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앱 ‘앱셔’를 각 사의 플랫폼에서 즉각 삭제해달라고 촉구했다고 워싱턴포스트 등이 12일 보도했다. 와이든 의원은 “여성에 대한 혐오스러운 감시와 통제”라면서 “미국 기업이 사우디의 가부장제를 활성화시키거나 촉진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명목상 앱셔는 사우디 내무부의 일종의 전자정부 포털이다. 사우디 국민들은 이를 통해 여권 및 출생증명서 발급, 차량등록 등 각종 행정 업무를 볼 수 있다.

문제는 사우디 남성이 앱셔를 이용해 여행을 떠난 여성을 24시간 동안 감시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모든 사우디 여성은 남편이나, 남성 가족 등 남성 보호자가 있어야 해외로 나갈 수 있다. 일단 남성 보호자가 앱셔에 여성 피보호자의 여행 장소, 기간, 이용 가능한 공항 등을 지정하면, 앱셔는 여성이 이 구역에서 벗어났을 때 즉각 남성 보호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앱셔는 현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만 100만건 넘게 다운로드됐다. 애플은 다운로드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다. 내무부에 따르면 사우디의 앱셔 사용자 수는 11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3분의1에 이른다.

휴먼라이츠워치는 “애플과 구글은 타인에 대한 괴롭힘을 조장하는 앱을 금지하는 규칙을 갖고 있다”면서 “추적 기능을 제거하고 다른 서비스만 제공하라”고 권고했다. 앰네스티는 “사우디가 여성 자유를 제한하는 도구를 어떻게 생산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논평했다.

애플과 구글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9-02-14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