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샴쌍둥이 생사 기로서 극적 사우디행

예멘 샴쌍둥이 생사 기로서 극적 사우디행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9-02-09 08:20
업데이트 2019-02-09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랜 내전으로 폐허가 된 땅 예멘에서 샴쌍둥이가 태어났다. 예멘 의료진은 현지 기술로는 이들을 살릴 수 없다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예멘 공습을 주도해 예멘을 초도화한 사우디아라비아가 이 샴쌍둥이를 자국에서 치료하겠다고 나섰다.

AFP통신 등은 8일(현지시간) 사우디 살만 왕립 인도적지원센터를 인용해 “사우디가 예멘 수도 사나에서 열흘 전 샴쌍둥이에게 의료적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샴쌍둥이의 이름은 각각 압둘 칼렉과 압둘 라힘이다. 머리와 척추, 폐, 심장, 소화 기관이 분리돼 있으나 신장은 2개, 팔과 다리도 각각 2개다. 남아이며, 출생 직후 인큐베이터에 들어갔다.
이미지 확대
약 열흘 전 예멘에서 태어난 샴쌍둥이가 6일(현지시간) 예멘 수도 사나의 타와라 병원의 인큐베이터에 누워 있다. 로이터 사나 연합뉴스
약 열흘 전 예멘에서 태어난 샴쌍둥이가 6일(현지시간) 예멘 수도 사나의 타와라 병원의 인큐베이터에 누워 있다. 로이터 사나 연합뉴스
샴쌍둥이가 태어난 타와라 병원의 파이살 알 바빌리 소아과장은 “우리는 기본적인 진단조차 할 수 없다”면서 “즉시 다른 나라에 가야 한다. 예멘의 사회, 정치, 경제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샴쌍둥이는 결코 여기서 살아 남을 수 없을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바빌리 소장은 유엔 등 국제기구가 나서 샴쌍둥이를 구해달라고 청원했다. 사우디가 예멘을 완전 봉쇄했기 때문에 현재 예멘으로 들고 나는 하늘길을 물론 해로가 막혀 있다. 그는 “샴쌍둥이의 면역 체계가 별개”라면서 “어느 쪽이 건강하지 않더라도 다른 쪽은 괜찮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군 후티를 정벌한다는 명목으로 예멘에 전쟁의 불길을 일으킨 사우디가 역설적으로 이번 사태를 해결하겠다고 나섰다. 압둘라 알 라비아 사우디 살만 왕립 인도적지원센터장은 이날 “샴쌍둥이를 치료할 전담팀을 꾸려놓았다. 가능한 한 빨리 사나에서 사우디로 데려올 것”이라면서 “전담팀이 샴쌍둥이를 불리할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 등 수니파 9개국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예멘을 공습하고 지상군을 투입했다. 민간인 6만여명이 숨졌고 전체 국민의 2900만명의 절반을 넘는 1600만명이 극심한 굶주림과 식수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한 전쟁이지만, 전쟁을 주도한 사우디가 막강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서방과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얽혀 있어 최근까지 주목받지 못했다. 사우디의 동맹 미국과 영국 등 서구 열강은 예멘 내전을 방치하는 것을 넘어 사우디에 무기를 팔기까지 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사우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배후에 사우디의 실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일면서 그가 주도한 예멘 내전에도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