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 신음 속 회원국 연쇄 탈퇴까지… 흔들리는 OPEC

저유가 신음 속 회원국 연쇄 탈퇴까지… 흔들리는 OPEC

김규환 기자
입력 2019-10-02 22:16
업데이트 2019-10-03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타르 이어 에콰도르 “내년 1월 탈퇴”

경제난에 원유 규제 벗어나 증산 노려
“시장에 증산 신호”… 유가 0.8% 하락
OPEC 13개국… 영향력 저하 불가피


경제난에 허덕이는 남미 산유국 에콰도르가 내년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탈퇴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올 들어 카타르에 이어 에콰도르도 탈퇴하면서 OPEC의 영향력 저하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에콰도르 에너지부는 1(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에콰도르는 2020년 1월 1일을 기해 OPEC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탈퇴 이후에도 OPEC 회원국과 맺은 관계를 유지하겠다며 “앞으로도 국제 석유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콰도르의 이 같은 결정은 ‘재정 지속성’과 관련한 국내 문제 때문이라며 “공공 지출을 줄이고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려는 정부의 계획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에너지부는 덧붙였다. 에콰도르 정부는 그동안 새로운 재원 창출을 위해 원유 증산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OPEC의 협조감산이 정책 실현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런 만큼 에콰도르는 OPEC의 규제를 벗어나 산유량을 손쉽게 늘릴 수 있는 탈퇴를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통신은 “OPEC이 저유가로 신음하는 와중에 카타르에 이어 또 탈퇴국이 나왔다”며 “원유 시장엔 확실한 증산 신호”라고 지적했다. 이날 국제 유가는 하락했다. 미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0.8%(0.45달러) 하락한 배럴당 53.6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에콰도르는 산유국이지만 재정 적자와 막대한 대외 부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7년 출범한 중도좌파 레닌 모레노 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금융 지원을 받아 반미 좌파 라파엘 코레아 전 정부에서 파탄 지경에 빠진 경제의 재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2월에는 IMF로부터 3년 동안 42억 달러(약 5조원) 규모의 차관을 들여오기로 했다.

에콰도르 산유량은 지난해 기준 하루 평균 54만 배럴 수준이다. OPEC 14개 회원국 중 11위이다. 에콰도르보다 산유량이 적은 나라는 콩고, 가봉, 적도기니 정도다. 에콰도르가 세계 전체 원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도 0.5~0.6% 수준에 머물러 국제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회원국 감소는 OPEC의 영향력 축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973년 OPEC에 가입한 에콰도르는 회비 부담과 증산 필요성 등을 이유로 1992년 활동을 중단했다가 15년 만인 2007년 10월 복귀해 지금까지 정회원 자격을 유지해 왔다. 올 초 원년 멤버 카타르가 OPEC을 탈퇴한 데 이어 에콰도르가 탈퇴하면 OPEC 회원국은 13개국으로 줄어들게 된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10-03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