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할 때 중국 헌법 지켜라” 소니, 게이머 행동규정 강화

“게임할 때 중국 헌법 지켜라” 소니, 게이머 행동규정 강화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0-22 22:26
업데이트 2020-10-23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로벌 기업들 ‘中 눈치보기’ 심해져

최근 중국의 애국주의가 지나치게 과열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자신들에게 비우호적인 언사나 행동을 한 기업이나 단체를 상대로 불매 운동에 나서는 중국 누리꾼들의 압박에 글로벌 기업들이 긴장하고 있다.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한 민족주의에 ‘제2의 방탄소년단(BTS)이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커지고 있어서다.

22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일본 게임업체 소니는 자사 게임 계정에 가입한 중국 본토 사용자에 대한 행동 규정을 강화했다. 소니 게임을 할 때 중국 헌법을 위반하거나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어떤 종류의 정보도 올려서는 안 된다는 약관을 신설했다. 지난해 9월 미국 게임업체 블리자드가 대만에서 ‘하스스톤’ 대회를 열었는데, 홍콩 선수 청응와이가 게임 뒤 반중 시위대의 상징인 방독면과 고글을 쓰고 “홍콩 해방, 시대 혁명”을 외쳤다. 블리자드는 그에게 상금 몰수 등 중징계를 내렸다가 반발 여론이 빗발쳐 어려움을 겪었다. 소니의 조치는 블리자드 사태를 ‘반면교사’ 삼은 것으로 풀이된다.

소니가 지나치게 중국 정부의 눈치를 살피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새 규정은 올해 7월부터 국가보안법을 시행하는 홍콩에도 적용될 수 있어 게이머들의 비난이 제기됐다.

반면 중국 게임업계는 소니의 결정을 옹호했다. 럭키99 테크놀로지의 선후이 회장은 “게임 시장의 주류인 젊은이들의 애국심이 높아지고 있어 외국 기업들이 스스로 이들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취지”라면서 “이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외국 기업들의 중국 눈치보기는 게임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지난 16일 베이징일보는 “지난해 홍콩시위 지지 발언으로 비난을 산 미 프로농구(NBA) 휴스턴 로키츠의 대릴 모리 단장이 13년 만에 단장직에서 물러났다”고 보도했다. 모리 단장은 임기가 3년 넘게 남았지만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택했다. 중국이 휴스턴 구단에 대한 보이콧과 NBA 시범 경기 생중계 중단, 후원 기업 계약 철회 등 압박을 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미 패션 브랜드 유니프는 홈페이지에 홍콩을 중국과 함께 나열했다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불매운동 대상이 됐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베르사체도 지난해 홍콩과 마카오를 국가로 잘못 표기한 티셔츠를 내놨다가 중국인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사과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0-23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