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베냐민의 마지막 여정

발터 베냐민의 마지막 여정

입력 2010-06-16 00:00
업데이트 2010-06-1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케이드 프로젝트’ 학자 소설식 전기 ‘…횡단’ 나와

최근 ‘아케이드 프로젝트(Das Passagen Werk)’가 잇따라 번역 출간되면서 단순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일원을 넘어 일급 문화비평가로 도약하고 있는 발터 베냐민(1892~1940)을 조망해볼 수 있는 전기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발터 베냐민
발터 베냐민
‘벤야민의 마지막 횡단’(제아 파리니 지음, 전혜림 옮김, 솔 펴냄)은 베냐민의 전기이되 소설 형식을 빌렸고, 전 인생을 다루기보다 피레네 산맥을 오르기까지의 마지막 여정에 집중했다. 게르숌 숄렙, 리사 피트코, 아샤 리시스, 해나 아렌트, 베르톨트 브레히트 등 베냐민을 아꼈던 주변 사람들의 증언 위주인 데다 베냐민의 어록이나 연구메모, 편지 등을 배치해 사실성을 높였다.

유태인이었던 베냐민은 2차 대전 때 나치의 핍박을 피해 스페인 국경의 피레네 산맥을 넘다가 음독자살한 비운의 학자. 베냐민이 집중했던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19세기 세계의 수도로 불렸던 프랑스 파리에 조성된 대형 회랑식 쇼핑몰에 대한 연구다. 당시 파리에 조성된 아케이드는 20세기 기준으로 보자면 19세기의 건물로, 이미 낡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베냐민은 아케이드 건축 자체를 일종의 근대적 욕망이 탄생하는 순간으로 보고 아케이드의 빛과 어둠을 파고들었다.

베냐민은 이 프로젝트에 10년간 매달렸으나 자살 때문에 완성하지 못한 채 미완의 메모 더미만 남겼다. 어쩌면, 연구가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묵시론적인 문화비평 텍스트로 더 주목받는지 모를 일이다. “모든 문장들이 난해하고 인상적이야. 기억해야 할 문구들이 너무 많아.”라는 아샤 리시스의 남편 베른하르트의 말처럼 베냐민의 어려운 문체도 한몫 했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우리는 우유부단하고, 이기적인데다 무심하고, 때론 여자들에게 매혹돼 어쩔 줄 몰라하는 베냐민을 만날 수 있다. 그래서 베냐민은 아케이드 안에서 욕망과 반역의 경계선이랄 수 있는 문지방(Schwelle)에 주목했을는지 모른다. 제목에 ‘횡단’이 들어간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16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