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콘서트…마루를 울리며 다가오는 감동

하우스 콘서트…마루를 울리며 다가오는 감동

입력 2010-06-28 00:00
업데이트 2010-06-28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앰프를 통해 증폭된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굉음처럼 터져나오는 것을 즐기는 콘서트도 있지만 악기가 빚어낸 소리가 마루를 울리며 다가와 몸을 은은하게 진동시키는 감동을 잊을 수 없는 콘서트도 있다. 작지만 품격 높은 공연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한 하우스 콘서트(하콘)다.
이미지 확대


하콘은 말 그대로 집에서 여는 콘서트다. 프리뮤직 음악가이자 작곡가인 박창수(46)씨가 2002년 7월 선보인 것이 국내 시초로 꼽힌다. 이후 여러 하콘이 생겨났지만 박씨의 하콘이 가장 유명하다. 제목도 그냥 ‘하우스 콘서트’다. 매달 2~3차례씩 나이테를 보태 260회 돌파를 앞두고 있는 ‘하콘’이 올여름 마이크도 없고, 앰프도 없는 언플러그드 콘서트를 음악 팬들에게 선물한다.

박씨는 서울 연희동 자택 2층 거실을 활용해 조촐하게 콘서트를 열다가 2008년 10월부터 집을 떠나 여행을 시작했다. 자택에서부터 음악 스튜디오, 사진 스튜디오를 거쳐 현재 세 번째 여행지인 서울 도곡동 레코딩 스튜디오 율하우스에 둥지를 틀고 있다. 바이올린 권혁주, 피아노 김선욱 등이 거쳐간 클래식 공연이 ‘하콘’의 60%가량을 이루지만 가수 강산에, 타악기 주자 고(故) 김대환, 영화감독 고 유현목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도 무대에 섰다. 30평 남짓한 공간에서, 무대가 아니라 관객 ‘속’에서 작은 숨소리와 땀방울 하나하나로 호흡을 나눠온 것이다.

2007년부터 해마다 한 차례씩 한 달 동안의 기획 공연을 선보여온 ‘하콘’이 대중음악을 주제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인디 뮤지션들이 주축이 된 공연은 7월2일부터 30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8시 다섯 차례 열린다.

국내 인디 음악의 상징적인 존재인 펑크 밴드 크라잉넛을 시작으로 미국 뉴욕 맨해튼 스타일의 음악을 선사하며 최근 홍대 앞 최고 신인밴드로 부상한 ‘10㎝’, 기타·드럼·콘트라베이스의 독특한 구성으로 포크록을 들려주는 3인조 밴드 ‘우주히피’,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및 작곡가·연주가로 활동하고 있는 하림, 자유로운 영혼의 가수 강산에가 바통을 이어가며 생(生)소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예약은 따로 없다. 입장료는 고등학생 1만원. 성인 2만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6-28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