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국새 만든 전각 전문가’ 초정 권창륜 인터뷰… 大字 첫 전시

‘5대 국새 만든 전각 전문가’ 초정 권창륜 인터뷰… 大字 첫 전시

입력 2011-05-04 00:00
업데이트 2011-05-0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붓글씨 공력?… 단번에 휙써야, 광화문 현판은 아름답지 못해”

고고학 발굴 현장에서는 꼭 유물 옆에 볼펜을 두고 사진을 찍는다. 볼펜 크기로 유물 크기를 가늠해보란 뜻에서다. 오는 22일까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리는 ‘권창륜·안승일의 산의 영(靈) & 기(氣)’ 전시가 그렇다. 2층까지 트인 전시 공간마저도 ‘좁아’ 바닥에 길게 늘어뜨려야 하는, 길이 5~7m에 이르는 서예 대작들이 즐비하다. 백두산, 한라산, 지리산 등 전국 명산을 찾아 산의 기운을 글씨로 표현한 작품들이다. 키 160㎝의 초정 권창륜(68)을 글씨 옆에 세웠다. 글씨 크기를 입증하는 일종의 ‘인증샷’이다.

이미지 확대
전시장에 걸린 ‘신시’(神市·고조선 건국지) 글자 앞에서 ‘인증샷’을 찍은 초정 선생. 작품 길이가 5m 이상 되는 대작들이 많다 보니 2개 층을 틔운 공간도 작아 보인다.
전시장에 걸린 ‘신시’(神市·고조선 건국지) 글자 앞에서 ‘인증샷’을 찍은 초정 선생. 작품 길이가 5m 이상 되는 대작들이 많다 보니 2개 층을 틔운 공간도 작아 보인다.
전시는 20년간 산 사진만 찍어온 안승일 작가의 작품과 함께한다. 생각만으로는 사진이 훨씬 더 힘 있을 것 같다. 더욱이 초정은 5대 대한민국 국새를 만든 전각 전문가다. 전각은 도장에 새기는 작은 글씨. 그런데 전시장을 둘러보면 글씨가 사진을 눌러 버린다. 크기도 그렇고 힘찬 기운도 그렇고, 갑골자인 글씨 자체가 아예 그림인지라 더더욱 그렇다. 안 그래도 사진이 눌릴 것 같아 사진을 한껏 확대했다는데도 말이다. 첫 전시 현장에서 초정과 얘기를 나눴다.

이미지 확대
2007년 백두산에 올라 천지 옆에서 글씨 쓰고 있는 초정.
2007년 백두산에 올라 천지 옆에서 글씨 쓰고 있는 초정.




→작업 도구, 작업 방식이 궁금하다.

-붓 두께가 직경 25㎝ 정도 된다. 이 정도 붓은 말갈기나 꼬리털로 만든다. 더 커지면 인조털을 써야 해서 그 정도로만 쓴다. 길이는 안 재봐서 모르겠는데 제일 큰 것은 사람 키만 한 것도 있다. 무게는 5㎏쯤? 물론 먹을 묻히지 않았을 때다. 이 붓을 두 손으로 잡고 쓴다. 산에 올라갈 때는 보통 10여 명 정도로 팀을 짠다. 붓 들고 먹물 들고 종이 들고…. 이것저것 챙기다 보면 공사가 커진다.

→체력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

-그게 제일 신기하다. 나 봐라. 키도 작고 덩치도 왜소하다. 젊은 것들 따라 올라가려면 힘들다. 올라가면서도 붓 쥘 힘이 남아 있으려나 싶은 생각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그런데 써진다. 붓글씨의 공력은 단판 승부에서 나온다. 덧칠이나 가필을 할 수 없다. 한번에 휙 써야 하는데, 그게 되더라. 되레 평지에서는 이런 글씨가 안 써진다. 스스로도 매우 신기하다.

→어쩌다 산에 올라가서 글씨 쓸 생각을 하게 됐나.

-글씨를 쓰다 보니 이런저런 공부를 하게 됐는데 역시 글씨는 자연에서 와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산천 수목의 형세와 기운을 고스란히 따온 것이 글씨다. 그런데 세월이 지나면서 자꾸만 예쁘게 가다듬게 됐다. 탁상공론이요, 화장하는 신세가 되어 버린 거다. 그러지 말고 근본으로 되돌아가자고 생각했다. 명산대천을 선으로 조형해 낸 것이 글씨의 출발이다. 그러니 글씨를 보면 무슨 글자인지는 몰라도 뭔가 딱 기운이 느껴져야 한다. 갑골자를 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붓 크기, 붓 쥐는 법, 먹 가는 법 이런 것은 그냥 방법일 뿐이다.

→실패한 적은 없나.

-왜 없겠나. 북한산에 가서는 못 썼다. 알다시피 그쪽은 산 위에 올라가면 종이 펼칠 곳이 마땅찮다. 철골 전망대가 있긴 한데 그건 좁아서…. 내 작품이 좀 커야지, 허허. 가장 어려운 건 습도 조절이다. 고산지대라 날씨가 급변하기 때문에 빨리 말려야 한다. 백두산에서는 글씨를 말리기 위해 손전등을 이용한 적도 있다. 종이로 찍어 내면 글씨가 약해져 궁리 끝에 생각해 낸 방법이었다.

→문구는 어떻게 떠올리나.

-생각나는 대로 쓴다. 처음에는 미리 글자를 생각해 두기도 했는데, 실제 써지는 글씨는 현장에서 느낀 그대로더라. 그다음부터는 마음 편하게 그냥 간다. 말이 되든 안 되든 즉석에서 떠오른 글자를 쓴다.

→20년간 해 온 작업이다. 첫 전시라는 게 믿기지 않는데.

-언젠가 보여 줘야지, 하는 생각에 꼭꼭 감춰 놨던 작업이다. 작품은 120점 정도 있다.

→이 정도 대자(大字)라면 광화문 현판도 소화할 수 있을 듯한데.

-지금의 현판 글씨가 아름답지 못하다는 건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이왕이면 좋은 글씨를 얹었으면 싶어 (글씨 쓰는 사람으로서) 아쉽다. 한자나 한글 모두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결정에 대해 내가 왈가왈부할 일은 아닌 것 같고….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04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