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무성영화와 교감 나누다

음악, 무성영화와 교감 나누다

입력 2011-05-19 00:00
업데이트 2011-05-19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21일 서울 프리뮤직 페스티벌

공존과 소통, 호흡을 주제로 한 독특한 음악실험이 펼쳐진다. 관객들은 무성영화와 퍼포먼스, 현대 및 전통무용이 즉흥연주와 어울려 빚어내는 교감을 즐기게 된다.

이미지 확대
무성영화와 즉흥연주의 교감을 시험했던 지난해 서울 프리뮤직페스티벌의 한 장면. 서울 프리뮤직페스티벌 제공
무성영화와 즉흥연주의 교감을 시험했던 지난해 서울 프리뮤직페스티벌의 한 장면.
서울 프리뮤직페스티벌 제공


4회째를 맞는 서울 프리뮤직 페스티벌이 19일부터 21일까지 관객들을 찾아간다. 지난 2002년부터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박창수의 연희동 자택에서 연주자(혹은 작곡가)와 관객이 뒤섞여 진행하는 새로운 형식의 음악회 ‘하우스콘서트’가 진행 중이다. 이 하우스콘서트의 실험정신과 파격을 시공간적으로 확장한 것이 서울 프리뮤직 페스티벌이다.

프리뮤직은 즉흥연주를 뜻한다. 악보에 적힌 곡을 연주하는 게 아니라 곡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순발력과 집중력, 컨디션, 관객들의 호응 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테지만 무엇보다 연주자의 내공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도전하기가 쉽지 않다.

독일 무성영화와 실험음악의 만남을 주제로 한 ‘공존’의 무대는 이화여대 안에 있는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사흘간 오전 11시에 열린다.

19일에는 로버트 시오드맥 감독의 ‘일요일의 사람들’(1929)에 청춘예보 영화음악단의 일렉트로니카 연주가 덧입혀져 영화를 ‘듣는’ 실험을 한다. 20일에는 에른스트 루비치 감독의 ‘남자가 되기 싫어요’(1918)에 맞춰 한국에서 활동하는 일본인 록그룹 ‘곱창전골’의 사토 유키에와 유스이 야스히로의 무대가 함께한다. 21일에는 프랑크 보르자게 감독의 ‘강’(1921)과 피아니스트 계수정, 베이시스트 최창우, 드러머 손경호, 영화음악 감독 방준석의 협연으로 막을 내린다.

‘소통’의 무대는 오후 8시 서초동 삼성타운 내 삼성디라이트 전시장에서, ‘호흡’은 19·20일 오후 11시 59분 도곡동 율하우스에서 진행된다. 서울프리뮤직페스티벌의 가장 비싼 프로그램은 5000원. 프로그램과 연주자 명단은 홈페이지(www.freepiano.net)를 참조하면 된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5-19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