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판공방 납활자 인쇄의 매력 속으로

활판공방 납활자 인쇄의 매력 속으로

입력 2011-11-11 00:00
업데이트 2011-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일 밤 ‘TV 쏙 서울신문’

‘정말 국가나 사회가 해야 할 일인데….’

11일 오후 7시 30분 케이블 채널 서울신문STV를 통해 방영되는 ‘TV 쏙 서울신문’이 찾은 경기도 파주출판도시 안의 활판공방을 둘러본 이들이라면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1980년대에 사진식자에 자리를 내주고 사라진 납활자 인쇄를 4년 동안 해온 이곳은 분명 박물관과 같은 곳이다.
이미지 확대
납활자와 활판을 이용해 인쇄하는 활판공방에서 납활자 주조공 정흥택씨가 원고대로 활자를 뽑아 보이고 있다.
납활자와 활판을 이용해 인쇄하는 활판공방에서 납활자 주조공 정흥택씨가 원고대로 활자를 뽑아 보이고 있다.


1960년대 중후반 제작된 활판 인쇄기가 서너 대, 정말 값을 따지기 힘들 정도로 오래된 활자 주조기 다섯 대 등이 열심히 돌아간다. 섭씨 420도로 열을 가한 납을 부어 만든 주조기를 들여다보니 그 정교함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시인 겸 편집주간인 박건한(69)씨는 7~8년 전을 떠올린다. “북디자이너 정병규씨와 내가 사라진 활자 인쇄를 누군가 복원해 보존해야 하지 않을까 뭐 이런 얘기를 하는데 당시 38세였던 박한수(45) 시월 출판사 대표가 들었나 봐. 어느 날 집에 불러서 갔더니 주조기랑 인쇄기랑 기계 두 대를 벌써 들여놨더라고. 그러면서 이거 정말 꼭 해보고 싶다고 해. 그렇게 시작했지.”

전국을 샅샅이 뒤져 주조기와 인쇄기를 사들였고 80년대 이후 다른 직업을 갖고 있던 주조공(鑄造工) 정흥택(71), 문선공(文選工) 김찬중(60)씨 등을 어렵게 설득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활판 인쇄로 책을 냈다. 인건비와 재료비 부담 때문에 적자를 보면서도 이곳에선 2018년 100권 완간을 목표로 시선집을 내고 있다. 근대시 100년을 기념해 100권, 한 권에 한 시인의 작품 100편을 싣고 있는데 현재 26권째인 서정주 시선집을 인쇄 중이다.

잉크를 종이에 묻히는 사진 식자나 컴퓨터 인쇄와 달리 활자 인쇄는 잉크를 종이에 스며들게 하는데 한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500년이 흘러도 활자의 맛이 그대로 느껴진다고 했다.

컴퓨터 인쇄로 몇 시간이면 끝낼 일을 한 권에 두 달씩 걸려 해내는 이들, 왜 수고로운 일을 자청하는 걸까. 주자(鑄字)와 문선, 식자(植字), 인쇄, 제책(製冊) 등 납활자 인쇄 과정을 들여다보면서 답을 구할 수 있다.

이 밖에 TV 쏙 서울신문은 문재인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가 내다보는 야권 통합의 과제, 국내 1호 별정우체국의 오늘, 훈민정음 해례 상주본의 행방 쫓기, 서울신문 시사 콕-박선화 경제 에디터의 ‘내릴 수수료 더 많다’, 인파 몰리는 서울 등(燈)축제 등이 방영된다.

글 파주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사진 문성호 PD sungho@seoul.co.kr

2011-11-11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