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난민 카렌족 아이들의 전통지키기

미얀마 난민 카렌족 아이들의 전통지키기

입력 2012-06-08 00:00
업데이트 2012-06-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8일밤 ‘세계의 아이들’

미얀마·라오스 등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의 최북단 매홍손. 열대림으로 뒤덮인 산악 지대에 둘러싸인 평화로운 이곳에 카렌족이 거주하고 있다. 본래 미얀마에 뿌리를 둔 이들은 가난과 핍박을 피해 국경을 넘어 이곳에서 난민 신분으로 살아가고 있다. 일생 동안 목에 황금빛 쇠고리를 감아올리는 것을 아름다움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카렌족 여성들. 8일 오후 8시 50분에 방송되는 EBS ‘세계의 아이들’에서는 기린 목을 닮은 카렌족 아이들이 전통을 지켜 나가는 모습을 전한다.

이미지 확대
자신들의 뿌리를 잊지 않고 전통을 지켜 나가는 카렌족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세계의 아이들’. EBS 제공
자신들의 뿌리를 잊지 않고 전통을 지켜 나가는 카렌족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세계의 아이들’.
EBS 제공


황금빛 링을 씻어 할머니께 드리는 13살 카렌족 소녀 무치. 할머니는 황동 고리를 받아 손녀의 목에 감기 시작한다. 카렌족은 다섯 살이 넘으면 목과 다리에 링을 걸기 시작해 조금씩 링을 늘려 나가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점점 늘어나는 링의 무게는 갈비뼈를 내려앉게 하고 목이 길어 보이게 하는데, 긴 목은 이들에게 미의 기준이 된다.

무치는 링을 목에 두르고 마캄 나무 진액을 이용해 얼굴에 작은 잎사귀를 그려 넣는다. 예쁘게 단장을 마치고 무치가 향한 곳은 상점. 대부분 카렌족의 수입은 관광 수입이기 때문에 무치는 어릴 적부터 부모님을 도와 베를 짜고 스카프를 만들며 자랐다. 대를 이어 자신의 전통과 생계를 잇기 위해 황동 고리를 스스로 선택한 카렌족 소녀 무치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더위를 피해 깊은 산으로 들어가는 무치와 동네 아이들. 이들이 자리 잡은 곳은 시원한 동굴 속이다. 아이들은 나뭇잎의 윗부분을 잘라서 만든 멋진 부채로 서로를 부채질해 주느라 정신이 없다. 그리고 다시 한번 뚝딱뚝딱 칼질에 비를 막아 주는 멋진 우비가 된다.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은 장난꾸러기 아이들이 이번엔 자신들의 키보다 몇 배가 넘는 꽃나무에 겁 없이 오르며 위험천만한 상황이 벌어진다.

카렌족은 미얀마의 소수 민족이다. 1948년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계속 독립 투쟁을 해 오다 미얀마 정부군이 카렌 반군의 마지막 저항지를 공격하자, 반군 가운데 일부가 태국으로 피난 와 정착하며 살아가고 있다. 독립을 꿈꾸며 60년 넘게 투쟁해 온 그들은 이제 국경을 떠돌며 오갈 곳조차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하지만 카렌족은 카렌어를 읽고 쓰고 듣고 말하는 4가지 원칙을 꼭 지키면서 살아가고 있다.

학교 수업이 끝나자 전통 복장을 하고 악기를 두드리며 카렌족의 행렬이 시작된다. 어른들의 뒤를 따라 아이들의 어설픈 몸동작이 이어지고 황금빛 링을 찬 카렌족 여성들이 일제히 환호성으로 힘을 북돋아 준다. 여전히 자신들의 뿌리를 잊지 않고 살아가고 있는 카렌족 아이들의 희망 이야기를 담아 본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2-06-08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