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 난민 삶의 희망 ‘카니발’

콜롬비아 난민 삶의 희망 ‘카니발’

입력 2012-06-11 00:00
업데이트 2012-06-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일밤 EBS ‘다큐프라임’

남미의 북서부 콜롬비아는 우리에게는 커피로 유명한 나라이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정부군과 반군 사이에 내전이 계속되면서 매해 3500여명이 사망하고 난민은 300만명에 이른다. 난민들은 빈민촌에 모여 가난 속에서 마약과 각종 범죄에 노출된 삶을 살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은 가난보다 괴로운 난민에 대한 차별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이 위로를 받고 희망을 맛보는 날이 있다. 일 년에 단 사흘, 살아남은 자들의 화합의 춤판, 바랑키야 카니발이다.

이미지 확대
매년 2월, 1년에 단 사흘 동안 콜롬비아 바랑키야에서 펼쳐지는 카니발은 고향을 떠나 가난과 차별에 괴로워하는 난민들에게 아픔을 치유하는 마법 같은 시간을 선사한다. EBS 제공
매년 2월, 1년에 단 사흘 동안 콜롬비아 바랑키야에서 펼쳐지는 카니발은 고향을 떠나 가난과 차별에 괴로워하는 난민들에게 아픔을 치유하는 마법 같은 시간을 선사한다.
EBS 제공
EBS는 11일 밤 9시 50분 ‘다큐 프라임’에서 콜롬비아 RCN TV와 공동제작한 ’치유의 축제, 바랑키야 카니발’을 방송한다.

유럽 가톨릭 전통에서 시작한 카니발은 남미에서 유럽인과 아프리카인, 인디오 모두의 축제로 자리 잡았다. 매년 2월, 콜롬비아의 제1 항구도시 바랑키야에서 열리는 이 카니발은 규모로 치면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 다음, 남미에서 두 번째를 자랑한다. 모두가 즐거운 축제이자, 고향을 떠나 힘들게 살아가는 콜롬비아 난민들에게는 고통을 치유하는 축제로도 사랑받는다.

EBS와 RCN TV 제작진은 콜롬비아 난민 마을인 말람보 마을 아이들이 바랑키야 카니발에 출전하는 모습을 따라간다. 그저 바랑키야에 가서 춤추고 즐기면 되는 축제인 듯하지만, 아이들에게는 걸림돌이 수두룩하다. 무엇보다 돈이 문제다. 의상비와 교통비, 악단 초청비, 식음료비 등 돈 들어갈 곳이 수없이 많다. 하지만 아이들의 부모는 돈을 댈 만한 능력이 없다. 14년째 무료로 말람보 아이들에게 춤을 가르친 도리스(49)와 카렌(23) 모녀도 난민이긴 마찬가지이기에, 춤추는 것 외에는 도움을 줄 방도가 없다. 그렇다고 카니발을 포기할 수는 없다. “춤을 추는 순간에는 뭔가 사람들의 존중을 느끼는 것 이상으로 그들에게 인정받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는 카렌은 아이들에게 그 기분을 느끼게 해주고 싶다. 말람보의 난민 아이들을 사회 속으로 끌어들이고,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는 경험은 카니발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마약과 폭력, 성매매를 피해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도리스와 카렌 역시 춤으로 구원을 얻었다.

도리스에게도 이들에게 카니발은 한마디로 ‘희망’이다. 도리스는 아이들을 위해 공장과 가게들을 돌아다니며 카니발에 나갈 수 있는 후원금을 모은다. “춤을 추는 순간에는 위로를 느낀다.”는 로시세라(12)와 말람보 아이들에게 기적은 일어날까. 방송에서는 도리스와 카렌 모녀를 통해 콜롬비아 내전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고, 아픔을 어떻게 견뎌왔는지 이야기하면서 난민들의 삶과 카니발 이야기를 촘촘히 풀어간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6-11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