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흐려졌다… 느낌이 살아났다

사진이 흐려졌다… 느낌이 살아났다

입력 2012-06-16 00:00
업데이트 2012-06-1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정하 ‘17일의 작가’ 수상전

척 봤을 땐 이질감, 그리고 거기서 오는 거부감이 들었다 해야겠다. 너무 깔끔하고 세련되고 단정해서다.

노정하(46) 작가는 핀홀 기법으로 명성을 쌓아왔다. 핀홀, 그러니까 작은 구멍 안에다 아날로그 필름을 깔아두고 빛을 수동으로 조절해가며 사진을 찍었다. 카메라의 원형, 카메라 옵스큐라의 전통을 되살렸다. 그래서 찍혀나온 사진을 보면 흐뭇한 풍경화의 느낌이다. 바늘구멍 부분은 거무튀튀하니 가려져있고 전반적으로 흐릿하지만, 그 속에서 따뜻한 빛의 온기를 느낄 수 있다. “회화적 효과를 내려고 일부러 그러는 거냐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건 아니에요. 카메라의 본질만 한번 남겨보고 싶었어요. 기계적 메커니즘이 자꾸 발달하다 보니 사진가들이 모였다 하면 전부 장비 얘기만 해요. 거꾸로 사진기, 렌즈 같은 고가의 장비를 다 버리고 작업한다면, 자연스러운 빛의 충돌에 더 집중한다면 어떨까 싶었던 거지요.” 핀홀 연작은 그렇게 탄생했다.
이미지 확대
노정하 작가의 핀홀 연작 가운데 아틀리에 프로젝트. 카메라 옵스큐라 기법으로 찍은 동료 작가의 작업실 풍경이다.
노정하 작가의 핀홀 연작 가운데 아틀리에 프로젝트. 카메라 옵스큐라 기법으로 찍은 동료 작가의 작업실 풍경이다.


●카메라의 원형 ‘핀홀기법’ 사용

최근작은 완전히 다르다. 시대의 대세를 거스를 수 없어 디지털 작업이 등장했다. 덕분에 사진 속 형상들은 모두 명료하니 깔끔하게 딱 떨어진다. 따뜻한 느낌보다는 차가운 느낌이 강하다. 핀홀 연작은 다가서게 만드는데 최근작은 뒤로 물러나게 만든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볼수록 묘한 온기가 느껴진다. 작가의 표현 방식 때문이다. ‘여름 휴가’ 연작은 사진을 다 조각조각 잇대어 놨다. 잇대어 놓은 것을 교묘하게 위장했다거나 가린다거나 하지 않는다. 대놓고 이거 다 잇대어 붙여놨소, 해놨다. 지극히 조작적인데, 잇대는 방식에서 다름 아닌 작가의 시선이 느껴진다. 그러니까 당신이 여름 해변에 들어선다고 해 보자. 시선이 어디로 갈까. 저 멀리 모래밭 한번, 옆에 누운 여자 한번, 파라솔 기둥 한번, 급하게 뛰어가는 여자 아이 뒷모습 한번…. 뭐 이런 식으로 쳐다보지 않았을까. 그렇게 잇대어 뒀기 때문에 작품을 들여다보면 작가의 시선이 어떻게 움직였을까 느낌이 온다.

그래서 ‘모션 포토’(Motion Photo) 연작은 사진 자체로는 더 흐릿한데 오히려 더 생생하다. 모션이란 단어에서 봤듯, 들여다보고 있으면 천천히 사진이 변한다. 모션 픽처는 영화고, 포토는 사진이니 그 중간 어디쯤에 위치한다는 얘기다. 이름만 듣고는 영화처럼 찍은 뒤 프레임을 뺀 게 아니겠느냐 싶었는데 “사진 수백장을 찍은 뒤 레이어를 계속 갈아끼우는 방식”이라고 답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도 작가의 시선이 느껴진다. 저 멀리 하늘, 도로를 건너는 사람들 얼굴, 그때 옆을 지나던 자동차 등의 모습들이 스쳐간다. 작품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작가가 거닐었던 그 거리의 냄새가 전해져 온다. 똑 떨어지는 깔끔한 디지털 사진을 이용해 작가의 시선을 냉철하게 따라가는 ‘여름 휴가’ 연작보다 오히려 작가의 감수성이 더 잘 전달된다.

●최근 작업선 디지털 카메라도 활용

사진은 현재를 영원히 남기는데 도전하는 매체다. 오늘날 수많은 친구, 연인, 부모들이 디카 하나 들고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출몰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한편으로 사진은 그 영원이라는 것이 결국 과거임을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는 매체다. 사진이 생생하면 생생할수록, 그때 그랬지라는 감정이 더 짙어지는 역설적인 현상이다. 작가의 작품에 멜랑콜리, 바니타스처럼 낭만주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단어들이 등장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작가의 작품은 그걸 묘하게 넘어서는 구석이 있다. 생생하게 사실적이어서 영원히 남겨주려는 욕망 대신, 흐릿한 시선으로 그곳의 느낌을 슬며시 전달해줘서다. 그러니까 핀홀 기법으로 찍은 사진들처럼, 카메라를 쓰되 작가의 시선으로 찍었기 때문이다.

전시는 7월 29일까지 서울 신문로 성곡미술관 1관. 미술관이 선정하는 ‘내일의 작가’ 수상전이기 때문에 ‘자화상’ 시리즈, ‘공주’ 연작 등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함께 볼 수 있다. 5000원. (02)737-765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6-16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