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66.5% 창작으로 월 100만원 못 벌어

예술인 66.5% 창작으로 월 100만원 못 벌어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개인 창작 활동으로는 월 100만원도 벌지 못하는 문화예술인이 세 명 중 두 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4일 우리나라 문화예술인의 활동여건과 실태를 집계한 ‘2012 문화예술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1988년부터 3년 주기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는 문학, 미술, 건축, 사진, 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대중예술 등 10개 분야별로 200명씩 총 2천 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 이메일, 팩스 조사를 병행했다.

개인 창작활동 관련 월평균 수입액 조사에서는 없다고 답한 예술가가 무려 26.2%나 됐다. 51만-100만원(15.1%), 21만-50만원(12.9%), 20만원 이하(12.3%)까지 포함하면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하인 사람의 비율은 66.5%에 달했다.

101만-200만원은 17.0%였고, 201만원 이상 버는 예술가의 비율은 16.7%로 집계됐다.

분야별로는 문학인의 예술활동관련 수입이 눈에 띄게 낮았다. 무려 91.5%가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79.0%), 사진(79.0%), 연극(74.0%), 영화(71.0%), 국악(67.0%), 무용(64.0%), 음악(60.0%), 대중예술(43.5%), 건축(34.0%) 순으로 100만원 이하의 비율이 높았다.

부가활동까지 포함한 월평균 수입액을 살펴보면 100만원 이하가 22.1%, 없다가 7.4%로 조사됐다. 201만-300만원과 301만원 이상의 비율은 각각 22.4%, 23.4%로 드러났다.

4대 보험 중에서는 산재보험 가입률(27.9%)이 가장 낮았다. 고용보험 가입률은 30.5%였고,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는 각각 97.8%, 66.7%가 가입했다.

문화예술 활동과 관련한 창작지원금 수혜비율(중복 응답 포함)은 31.9%로 공공영역(정부·문화예술위원회·기타 공공기관) 27.7%와 민간영역 8.1%로 구성됐다.

창작활동 여건과 관련해서는 ‘문화예술활동의 경제적 보상’에 대한 불만이 91.7%로 가장 높았다. ‘문화예술인 및 문화예술활동 지원’과 ‘창작발표 기회’에 대한 불만도 각각 84.7%와 67.2%로 높았다.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문화예술인(단체)이 해야 할 일로는 ‘정실주의·부패 청산’(31.6%), ‘예술교육 수준 향상’(14.1%), ‘과시적 일회성 행사 자제’(12.9%) 등을 꼽았다.

문화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창작지원금 및 매개 공간 지원, 창작팩토리 지원 사업 확대 등 문화예술인의 창작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조사 주기를 3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표본 크기를 늘리는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해 다음 조사부터 반영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