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명의 피아니스트, ‘음악의 형식’을 말하다

세 명의 피아니스트, ‘음악의 형식’을 말하다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케른·라이케르트·에디, 16일부터 슈베르트·베토벤·쇼팽 작품 등 릴레이 연주

세 명의 피아니스트가 ‘음악의 형식’을 주제로 연주회를 갖는다. 금호아트홀은 오는 16일부터 3회에 걸쳐 올리버 케른과 아비람 라이케르트, 빌리 에디의 연주를 선보인다.

먼저 16일 첫 무대에 오르는 케른의 주제는 ‘악흥의 순간’. ‘악흥의 순간’을 처음 작곡한 것은 슈베르트다. 자유로운 음악적 이미지로 일기를 쓰듯 내면의 풍경을 그려낸 소품집이다. 즉흥곡과 같은 기교보다는 단순하고 우아한 매력이 돋보인다. 전체 6곡 중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것은 ‘러시아 노래’라는 흥겨운 무곡풍의 3번 곡이다.

케른은 슈베르트의 작품에 이어 브람스와 라흐마니노프의 ‘악흥의 순간’을 연주한다. 리처드 듀다스 한양대 교수가 이번 공연을 위해 작곡한 ‘악흥의 순간’이 초연된다.

서울대 교수로 재직 중인 이스라엘 출신의 라이케르트는 30일 소나타를 주제로 무대에 오른다. 스카를라티와 베토벤, 스크랴빈, 슈베르트를 순서대로 연주하며 소나타의 변천사를 선보인다. 라이케르트는 “소나타의 매력은 기발한 형식에 있다. 특정한 상황과 분위기를 제시하고 그것을 발전해 나가면서 되풀이에 대한 기대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 성공적인 소나타 연주의 비밀”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에서 “깊이 있고도 음악성이 탁월한 연주자”라고 손꼽힌 바 있다.

다음달 13일 마지막 무대에 오르는 레바논 출신 연주자 에디의 주제는 프렐류드(전주곡)다. “짧은 시간 안에 시적이고 자연스러운 음악을 담을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라는 게 연주자의 말이다.

에디는 스크랴빈의 프렐류드 음반을 녹음하고 바흐와 라벨, 리아도프 등의 프렐류드를 꾸준히 무대에 올려왔다. 이번에는 쇼팽과 알캉, 포레의 작품을 연주한다. 국내 무대에서는 듣기 어려웠던 헬러와 사크르의 프렐류드도 만나볼 수 있다. 8000~3만원. (02)6303-1907.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5-13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