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도 불길 속 명검 만드는 중국 전통 도검장

1300도 불길 속 명검 만드는 중국 전통 도검장

입력 2013-05-14 00:00
업데이트 2013-05-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15일 밤 ‘극한직업’

‘도검의 도시’로 유명한 중국 저장성의 룽취안시. 값싼 현대식 도검에 밀려 전통적인 도검이 자취를 감춰가는 요즘, 수천 년 동안 내려온 중국 전통의 도검 제작 기술을 지켜가는 도검장이 있다. 이들은 강에서 사철을 채취하고, 수만 번 쇳덩이를 두드리는 단조작업을 견뎌낸다. 단 한 자루의 명검(名劍)을 만들기 위해 1300도의 불길을 견디며 혼신의 힘을 다해 작업하는 중국 도검장. 15일 오후 10시 45분에 방송되는 EBS ‘극한 직업’에서는 그들의 뜨거운 땀방울을 만나본다.

명검을 만들기 위해 1300도의 불길을 견디며 작업하는 중국 도검장들의 세계를 조명한 ‘극한 직업’. EBS 제공
명검을 만들기 위해 1300도의 불길을 견디며 작업하는 중국 도검장들의 세계를 조명한 ‘극한 직업’.
EBS 제공
중국 룽취안시의 한 전통 도검공장에서 한창 달궈진 쇳덩어리를 두드려 칼날을 만드는 단조 작업이 한창이다. 도검장 쩌우정우는 가업인 도검을 이으며 중국 전통 검을 복원해 제작하고 있다. 이곳 도검 기술자들이 화로에서 900도로 달궈진 쇳덩어리를 무거운 망치로 두드릴 때마다 불꽃이 사정없이 튀어 오른다. 화상을 입으면서도 이들은 망치질을 멈추지 않는다.

수천 년 전부터 인류는 강가의 모래 속에서 철가루를 채취하여 검을 제작해 왔다. 아직도 사철을 채취하여 도검을 제작하는 중국 전통의 도검 장인들. 하지만 여러 날에 걸쳐 강물에 몸을 담그고 사철을 채취해도 얻을 수 있는 사철의 양은 많지 않다. 오랜 노력 끝에 사철을 이용해서 강철을 만드는 제련작업에 들어갔다. 1500도까지 타오르는 용광로에서 불순물 많은 사철은 순수한 강철로 다시 태어난다.

종일 불길이 치솟는 화로 앞에서 살아야 하는 도검장이 되는 길은 멀고 험난하다. 이들은 시력에만 의존해 불길의 온도를 알아낸다. 3년을 수련해야 불길의 온도를 읽어내고 쇳덩어리를 단조하는 작업을 해낼 수 있다. 최고의 명검을 만들기 위한 도검장의 싸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3-05-14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