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G기술 할리우드 수준에 근접…정부 지원 절실”

“국내 CG기술 할리우드 수준에 근접…정부 지원 절실”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용화 감독, 한국영화기자협회 5주년 세미나서 주제발표

국내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이 할리우드 수준에 근접하는 등 발전하고 있지만 CG 산업이 성장하려면 정부의 지원 등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화 ‘미스터 고’ 개봉(7월17일)을 앞둔 김용화 감독은 21일 경기도 가평 리버빌 연수원에서 열린 한국영화기자협회 출범 5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글로벌 시대, 한국 CG 산업의 위상’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감독은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CG가 콘텐츠 자체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분야가 됐고 그동안 CG기술이 많은 부분을 해외 기술에 의존했다면 현재 국내에서도 소프트웨어가 개발돼 CG의 진일보한 성장을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구미호’(1994), ‘퇴마록’(1998), ‘태극기 휘날리며’(2004) 등 초기 CG 작품들과 할리우드 못지않다는 평가를 받은 ‘디워’, 최근 작품인 ‘해운대’, ‘타워’ 등을 예로 들며 한국 CG산업 수준이 할리우드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또 ‘미스터 고’의 사례를 소개하며 “영화 제작사인 덱스터 필름은 80만개 이상 털로 둘러싸인 고릴라 ‘링링’의 자연스러운 외관을 표현하려고 국내 자체 기술로 동물의 털을 구현하는 디지털 털(fur) 제작 프로그램 질로스(Zelos)를 세계 네 번째, 아시아 최초로 개발했다”고 전했다.

김 감독의 신작 ‘미스터 고’는 200억 원이 넘는 제작비를 들여 국내 최초로 전체 3D 촬영과 CG·시각효과(VFX)로 가상 고릴라 캐릭터 제작을 시도한 대작이다.

김 감독은 “한해 제작되는 블록버스터 수요가 많지 않은 한국 영화의 장르적인 한계와 독점적인 국내 기술을 개발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산업적인 한계, 국내 CG에 대한 정부의 충분하지 못한 지원 등이 우리가 넘어야 할 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제에 나선 박성미 DK미디어 대표는 “국내 CG 산업의 진일보한 발전에 비해 CG 인력 육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면서 “인력정보 데이터베이스(DB)조차 구축이 안 됐다”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미국 중심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수주와 미미한 국내 물량 등으로 인한 CG 업계의 고용 불안이 가중되면서 인력 운용에 큰 한계로 작용한다”며 “이를 타개하려면 해외 영화 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미국·중국 등과의 공동 제작, 정부 주도의 대형 SF물 제작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국내외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지원, 연구개발(R&D) 지원, CG 인력양성 교육 등 다양한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