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익선관 추정 유물, 임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

세종대왕 익선관 추정 유물, 임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15: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월 세종대왕의 익선관(翼善冠·왕이 집무할때 쓰던 모자)으로 추정된다며 경북대 교수가 공개한 유물이 세종대왕의 것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경북대 국문과 이상규(60·전 국립국어원장) 교수는 “당시 공개한 유물을 전문기관에 의뢰해 천, 종이 등 내부의 3가지 시료에 대해 연대기 분석을 한 결과 임진왜란 이후인 1650년대 유물로 결론났다”고 2일 밝혔다.

그는 “익선관 안에 들어 있던 훈민정음 활자본은 간송미술관 소장 해례본과는 다르다고 보지만 이 부분은 미스터리로 남게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당시 유물을 공개할 때만 해도 연대기가 판명된다면 한글과 복식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겠다고 생각했다”며 “1600년대의 유물이란 점도 의미가 없는 건 아니지만 기대에 못 미쳐서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지난 2월 한 수집가가 일본에서 구입해 국내로 들여온 모자를 공개하며 임진왜란 때 약탈당한 궁중 유물로 세종대왕이 쓴 익선관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당시 이 익선관 내부에는 훈민정음 활자본이 들어 있어 특히 관심을 끌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