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 생활유물 원형대로 출토

백제시대 생활유물 원형대로 출토

입력 2014-09-24 00:00
업데이트 2014-09-24 0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주 공산성서 목곽창고 발굴… 저울추·칠기·복숭아씨 등 나와 말갑옷 등 전쟁용구도 발견

웅진 도읍기 백제시대 왕성으로 알려진 충남 공주 공산성에서 원형을 유지한 백제시대 대형 목곽고(木槨庫)가 발굴됐다. 목곽창고 안에서는 복숭아씨, 박씨 등 식생활 자료와 저울용 석제 추, 칠기, 나무망치 등 생활용품도 다수 발견됐다.

이미지 확대
백제 목곽창고
백제 목곽창고 웅진 도읍기 백제시대 왕성으로 알려진 충남 공주 공산성에서 발굴된 나무상자 모양의 대형 목곽고(木槨庫).
공주대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출토 유물
출토 유물 목곽고 안에서 출토된 복숭아씨, 박씨, 나무망치, 항아리 조각 등 생활용품들.
공주대박물관 제공
문화재청과 공주대박물관은 제7차 공산성 발굴조사 결과 공산성 마을터 등에서 백제시대 연구에 전기를 마련할 이 같은 유물들이 다량 발굴됐다고 23일 밝혔다.

성안 건물터가 밀집한 북쪽 지역에서 발견된 가로 3.2m, 세로 3.5m, 깊이 2.6m의 목곽고는 전체 구조가 온전히 유지된 채 발굴된 최초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남석 공주대박물관장은 “너비 20~30㎝ 안팎의 판재를 기둥에 정교하게 얽어 만든 목곽고는 상부에 별도의 지붕 구조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존 대전 월평동산성, 부여 사비도성 등에서 확인된 목곽고들과 달리 상부 구조까지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백제 목조 건축물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 안에서는 당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일상용품들도 함께 나왔다.

무게 36g인 석제 추는 원형으로 중앙에 고리가 있으며, 목재를 가공해 만든 칠기는 표면에 정교하게 옻칠이 됐다. 목곽고는 저장시설 혹은 우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공산성 건물터 북쪽 저수시설에서는 백제 멸망기 나당 연합군과의 전쟁에서 백제군이 쓴 것으로 보이는 말 갑옷인 마갑(馬甲) 등 다수의 전쟁용구들도 발견됐다. 철제 마면주(馬面?·말의 얼굴을 감싸는 도구), 마탁(馬鐸·말갖춤에 매다는 방울), 대도(大刀), 장식도, 화살촉, 철모 등이 함께 수습됐다. 백제 유적에서는 처음으로 깃대꽂이도 발견됐다.

갑옷과 마갑에는 ‘정관 19년’(貞觀十九年·645)’, 참군사(參軍事), ‘○작배융부’(○作陪戎副), ‘○인이행좌’(○人二行左) 등 20여개의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구체적인 의미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9-24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