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이젠 문체부가 관리… 전시·공연·탐방 확대한다

청와대, 이젠 문체부가 관리… 전시·공연·탐방 확대한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4-10 18:23
업데이트 2023-04-11 06: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정원·녹지원 연중 야외 무대
장애인·어린이 프로그램 다채
MZ 주축 10대 관광코스 개발

이미지 확대
휴일을 맞아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시민들이 본관 일대를 관람하며 오가고 있다. 2022.10.2 연합뉴스
휴일을 맞아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시민들이 본관 일대를 관람하며 오가고 있다. 2022.10.2 연합뉴스
다음달 청와대 개방 1주년을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기존 관람 방식을 크게 개선하겠다며 새로운 관리·운영 기본 방향을 10일 발표했다. 대통령 역사, 문화예술, 문화재, 수목 등 4개 핵심 콘텐츠와 관련한 전시, 공연, 탐방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는 게 골자다.

우선 본관을 중심으로 역대 대통령 관련 특별 전시를 연다. 대정원과 녹지원, 헬기장, 소정원 등 야외에서는 공연을 연중 기획해 선보인다. 개방 1주년 특별음악회를 비롯해 국립국악원의 사철사색 연희 공연,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클래식 음악회, 국악방송의 K뮤직 페스티벌, 국립오페라단의 K오페라 갈라 등을 진행한다.

장애인, 어린이, 국가유공자 등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에는 춘추관에서 시각장애인 오케스트라 공연을, 어린이날에는 다채로운 체험 행사를 운영한다.

청와대를 관광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방안도 수립한다. 청와대 인근 역사문화자원과 북악산(K클라이밍)을 엮어 다양한 테마형 관광코스를 개발한다. MZ세대가 주축이 돼 10대 관광코스를 소개하는 청와대 권역 관광 클러스터 선포식도 곧 연다. 문체부는 관련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번 달 말 발표하기로 했다.

이번 청와대 운영 기본 방향은 문체부가 지난달 31일 자로 대통령실로부터 청와대 관리에 관한 위임을 받으면서 마련됐다. 지금까지 청와대 관리는 문화재청이 해 왔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긴 이후 한복 패션쇼와 연예인 화보 촬영, 문화재 관리 부실 등이 논란을 불렀다.

김기중 기자
2023-04-11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