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세종학당 4년 내 350개로”

“전 세계 세종학당 4년 내 350개로”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8-08 01:02
업데이트 2023-08-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체부 ‘한국어 세계화 전략’
다양한 학습 콘텐츠 개발도

이미지 확대
박보균 문체부 장관 연합뉴스
박보균 문체부 장관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7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2023 세계 한국어 교육자대회’에서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5대 전략을 발표했다.

촘촘한 한국어 공급망, 한국어 교육 전문성 강화, K컬처로 체득하는 한국어, 언제 어디서나 배우는 한국어, 현지 한국어 확산 기반 구축 및 연대 지원 등으로 2027년까지 추진한다.

세종학당은 올해 기준 85개국에 248곳이 있다. 문체부는 한국어 공급망 확대를 위해 2027년까지 35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교육 현장에 맞춘 교육과정 및 교재를 개발하고 한국어 전문교원을 파견한다.

문체부는 K팝과 한국 드라마 등 K컬처를 계기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다수인 만큼 다양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메타버스 세종학당과 인공지능(AI) 한국어 선생님 앱을 통해 어디서나 한국어를 배울 수 있게 하고, 세종학당 학습자가 한국어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지원해 현지에서 한국어가 확산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연대를 지원한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한국어를 배우는 여러분들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이제는 더욱 나은 환경에서, 좀더 많은 지원 속에서 여러분들의 꿈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0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대회에는 전 세계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세종학당 관계자 등 250여명이 함께한다. 이해영 세종학당재단 이사장은 “4년 만에 대면 행사로 개최하면서 어느 때보다 알차게 준비했다. 가슴 벅찬 마음으로 환영하며 뜻깊은 시간으로 채워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류재민 기자
2023-08-08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