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38살, 우즈벡 아내 18살”…4000만원을 들여 결혼 ‘시끌’

“난 38살, 우즈벡 아내 18살”…4000만원을 들여 결혼 ‘시끌’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8-23 18:04
업데이트 2023-08-23 18: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 국제결혼 중개업체 홈페이지에 공개된 외국인 여성들의 사진(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DB
한 국제결혼 중개업체 홈페이지에 공개된 외국인 여성들의 사진(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DB
자신보다 20살 어린 18살 우즈베키스탄 여성과 국제결혼 한 후 고민이 깊어졌다는 38살 남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23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한 남성이 약 4000만원을 들여 우즈베키스탄 18살 여성과 국제결혼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A씨에 따르면 1985년생 38세인 그는 2005년생인 18세인 우즈베키스탄 여성과 국제결혼을 했다. 아내가 한국으로 오면 A씨의 아파트에서 지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A씨는 “꿈 많은 딸 같은 아내를 맞이해서 어찌 살아야 할지 고민이 많다”며 “인생을 같이 걷는 동반자라기보다는 평생 케어(돌봄)해야 할 대상에 가깝다는 느낌”이라고 고민을 토로했다.

이어 “(예비아내가)현지에서 결혼할 수 있는 나이이고, 국내 혼인신고도 내년이라서 문제없다”고 덧붙였다.

A씨는 “국제결혼을 위해 총 4000만원 정도 들었다”며 “중매업체에 2500만원 냈다. 신부 부모에게 지참금 5000달러인 650만원 주는 대신 그 이후에 처가 도움은 안 주는 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 ‘매매혼’ 논란을 제기하자, A씨는 “내가 좋아서 결혼한다는데 왜 난리냐. 본인이 안 샀고, 본인이 안 팔았다는데 왜 당신들이 매매니 뭐니 헛소리하냐”고 응수했다.

지난해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국제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맞선에서 결혼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5.7일에 불과하다. 한국인 배우자는 중개 수수료로 평균 1372만원을 지불했다.

외국인 배우자가 낸 수수료는 69만원에 그쳤다. 한국인 배우자의 연령은 40~50대(81.9%)가 대부분이었지만, 외국인 배우자는 20대(79.5%)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한 ‘매매혼’ 논란은 최근 국제결혼중개업체를 통해 결혼한 한국 남편이 외국인 아내를 향해 막말, 욕설을 지속하는 사연 등이 공개되면서 불거졌다.
이미지 확대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음. 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음. 픽사베이
여가부, 결혼중개업 실태 조사…“국제결혼 수수료 점검”
이에 여성가족부는 23일부터 오는 10월 31일까지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

결혼중개업 실태 조사는 3년마다 결혼중개업의 운영 실태 및 이용자의 피해 사례 등의 실태를 파악하는 국가 승인 통계로, 결혼중개업체 및 이용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해 이용자의 피해 예방 등 바람직한 결혼 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는 결혼중개업체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조사 결과는 내년 상반기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는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 계획(2023∼2027)’에 포함된 건전한 국제 결혼 환경 조성 과제 추진을 위한 국가별 중개 수수료 실태 파악 항목도 조사에 포함했다.

또 결혼중개업 이용에 따른 피해 사례가 다양해짐에 따라 피해 유형을 세분화해 피해 발생의 원인과 양상, 피해 구제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조사 항목을 설계했다.

방문 면접 조사로, 조사원은 표본 대상 업체 방문 시 여가부 공문, 조사원증, 안내문 등을 활용해 조사에 대해 안내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기순 여가부 차관은 “향후 관련 정책에 기반이 되는 만큼 조사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국내외 결혼중개업체와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며 “여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결혼 중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권 침해나 이용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건전한 결혼중개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