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최대 봄축제 ‘공예주간’ 9월로 연기

공예 최대 봄축제 ‘공예주간’ 9월로 연기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4-28 10:14
업데이트 2020-04-28 1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영향...5~8월 전국에서 사전행사

2019 공예주간 공예장터 마켓유랑.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2019 공예주간 공예장터 마켓유랑.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매년 봄 개최해온 공예문화 축제인 ‘공예주간(Korea Craft Week)’을 가을로 연기한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3회째를 맞는 ‘2020 공예주간’은 지역문화 활성화를 기치로 오는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간 문화역서울284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전시, 체험, 교육, 장터, 토론 등으로 다채롭게 진행된다. 이에 앞서 5~8월 각 지역에서 다양한 사전행사가 열린다.

첫 행사는 우리의 전통 차 문화를 현대에 맞게 재조명하는 ‘다 함께 차차茶’ 프로젝트다. 5월 6~7일 전남 장성에서 열리는 채엽(찻잎 따기), 제다(찻잎 만들기) 체험 행사는 참가자들이 야생 차밭에서 직접 찻잎을 수확해 공예가들이 제작한 다구에 차를 우려낸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일반인 참여 신청은 받지 않고, 참여 작가들이 소규모로 진행한 뒤 영상을 온라인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5월 12~22일 서울 통의동 보안여관에선 김유미(도예), 백경원(도예), 유남권(옻칠), 김준수(가죽), 이윤정(금속), 이지원(직조) 등 젊은 공예 작가들이 협업해 만든 휴대용 다구세트와 백암요, 희뫼요, 노산도방, 무소공방이 만든 다관(茶罐)과 잔, 숙우(熟盂) 등을 전시한다.

이밖에 여름에는 강원 지역에서 자연 속 공예문화 행사를, 가을에는 안동 한옥마을에서 전통 가옥 속 공예문화를 선보인다.

2018년 시작한 ‘공예주간’은 지난해 전국에서 34만명이 참여했다. 김태훈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은 “공예계 최대 축제인 ‘공예주간’을 연기하는 데 따른 불편 사항을 최소화하고, 보다 풍성한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