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전시] “본연의 예술이 가장 제 맛”

[미술·전시] “본연의 예술이 가장 제 맛”

입력 2013-09-04 00:00
업데이트 2013-09-0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인수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67세 老화가와 51세 늦깎이 화가의 닮은 열정, 다른 시선

너무나 간명하고 단순한 선과 면의 만남. 한국 조각계의 거물인 최인수(67)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의 작품을 찬찬히 돌아보면 두 번 놀라게 된다. 3개의 철판이 서로 다른 각도인데도 조금도 조화가 깨지지 않고 한 몸을 이룬다. 분명 하나 안에서 서로에게 원인이고 결과이며 서론과 본론이다. 평론가들은 “숨을 죽이고 단아한 조형의 세계를 구축한다”고 압축한다.

가장 원초적인 소재인 ‘흙’을 이용한 작품 ‘태고의 바람’을 들어 보이는 최인수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갤러리시몬 제공
가장 원초적인 소재인 ‘흙’을 이용한 작품 ‘태고의 바람’을 들어 보이는 최인수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갤러리시몬 제공


최교수의 작품 ‘여기 장소가 되다’는 가장 기본적인 선과 면을 활용했다. 갤러리시몬 제공
최교수의 작품 ‘여기 장소가 되다’는 가장 기본적인 선과 면을 활용했다.
갤러리시몬 제공


둥근 메주를 연상시키는 형형색색의 소조는 또 어떤가. 필수적이며 보편적인 재료인 흙은 간명한 의미를 담고 있다. 끊임없이 완성을 의심하고 초심으로 돌아오려는 예술 행위 전반의 성찰을 뜻한다. 매혹적인 담론 없이 오로지 포용의 힘만으로 관객을 끌어들인다.

서울 시내 한 갤러리에서 마주한 최 교수는 “기술(기교)이 발달할수록 (예술은) 우리가 생각하는 근본과 멀어진다”며 화두를 던졌다. “맹물이 사실 가장 맛난 법”이라며 “자칫 눈을 심심하게 만든다는 혹평에 시달릴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곳에서 예술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강조했다. 19세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일화를 들어 예술 사조에 물들거나 대가들의 작품을 따라 하는 것이야말로 스스로를 망치는 지름길이라고도 말했다. 추사의 화풍을 따라 빼어나게 진경산수화를 그리던 젊은이가 추사에게 그림을 평가해 달라고 부탁하자 “밥은 먹고 살겠구나”라는 혹평을 들었다는 이야기다. 최 교수는 또 “‘미술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큰 거짓말도 없다. 미술은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요, 특별한 감상법은 없다”고 말했다. 조선백자를 ‘미니멀리즘의 극치’라 부르는 예술인들을 놓고는 “1960~1970년대 미국에서 유행했던 서양의 틀에 굳이 조선의 예술을 끼워 맞출 필요가 있느냐”고 꼬집었다.

고희를 목전에 둔 교수는 예술계가 오염됐다는 위기감에 “근본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스스로 이어 간다”고 고백했다. 재료에 귀천을 두지 않고 흙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1980년대 독일에서 공부할 때 시골길을 걷다 우연히 어린 시절 통학길이 떠올라 ‘흙으로 돌아가자’는 생각을 품었다고 한다. 이어 전통 메주에서 모티브를 얻어 원시적 물방울 모양의 진흙 경단 같은 작품을 구상했다.

강단에 서던 시절에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해 찾아온 불규칙한 맥박 탓에 작품 활동을 접어야 할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때 부정맥을 드로잉으로 연결시킨 독특한 기법을 창안했다. 이렇게 그의 작품은 모두 ‘몸’과 연관돼 있다. 촉각이 후각과 미각을 아우르는 만큼 조각은 모든 예술의 근본이라는 생각과 새로운 창작 없는 예술 활동은 동어반복의 ‘자폐증’이라는 비판도 여기서 비롯됐다.

최 교수는 지금도 서울 서초동 우면산 기슭의 작은 작업실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그 성찰의 결과물을 모아 5일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종로구 통의동 갤러리시몬에서 3년 만의 개인전을 연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9-04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