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숨결로 살린, 그의 이름은 ‘휘’

내 숨결로 살린, 그의 이름은 ‘휘’

입력 2013-09-13 00:00
업데이트 2013-09-13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2일 막 올리는 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 주연 손승원

“큰 산을 겨우 넘었더니 또 다른 산이 눈앞에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한 번 더 성장할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배우 손승원이 가무극 ‘잃어버린 1895’로 변신한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다룬 작품에서 명성황후의 사진에 얽힌 비밀을 간직한 가상의 인물 ‘휘’를 연기한다. 서울예술단 제공
배우 손승원이 가무극 ‘잃어버린 1895’로 변신한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다룬 작품에서 명성황후의 사진에 얽힌 비밀을 간직한 가상의 인물 ‘휘’를 연기한다.
서울예술단 제공
‘최연소 헤드윅’으로 화제를 모았던 뮤지컬 배우 손승원(23)이 이번에는 명성황후의 사진에 담긴 비밀을 간직한 신비로운 사진사로 변신한다. 오는 22일 막을 올리는 서울예술단의 가무극(歌舞劇)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가상의 인물 ‘휘’를 연기하게 된 것. 2009년 ‘스프링 어웨이크닝’으로 데뷔한 이후 4년 동안 줄줄이 주연을 꿰찬 그의 거침없는 행보가 올 들어 특히 시선을 끈다.

손승원은 지난 5월 뮤지컬 ‘헤드윅’에 캐스팅돼 뮤지컬계를 들썩이게 했다. 23세 신예가 연기하는 ‘헤드윅’을 향한 뮤지컬 팬들의 반응은 기대 반 우려 반이었다. 뚜껑을 열어 보니 결과는 ‘합격’. 첫 공연을 본 제작사 관계자들은 “이제 됐다”며 손뼉을 쳤고, 팬들은 참신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잘했고 못했고를 떠나 정말 후련했어요. 이제부터 재미있게 놀아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연습이 다 끝나도 혼자 남아 연습하며 치열하게 매달렸던 ‘헤드윅’은 지난 7일 막을 내렸다.

뒤이은 작품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조선의 마지막 국모 명성황후의 사진을 둘러싼 진위 논란에 상상력을 보태 명성황후 시해 사건 속에서 그녀의 ‘잃어버린 얼굴’을 찾는 여정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그린다. 제5회 더 뮤지컬 어워즈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차지연이 명성황후, 김도빈과 박영수가 각각 김옥균과 고종을 연기한다.

그가 연기하는 사진사 ‘휘’는 어린 시절 명성황후와의 악연으로 어머니를 잃고 왕실 사진관에 조수로 들어가 복수를 노리는 인물이다. 조선 말기의 소년에서 일제강점기의 노년까지 40년을 오가며 극의 화자 역할을 하는 만만찮은 배역이다. “실존 인물이 아닌 가상의 인물이라 참고할 자료도, 물어볼 곳도 없어요. 제 스스로 캐릭터를 만들어야 하죠. 제가 잘못하면 작품 전체가 흐트러져요.”

연신 “고민이 많다”고 토로하면서도 생각해 둔 표현 방법이 있냐는 질문에는 답이 술술 나왔다. “처음에는 장난기 있는 발랄한 이미지로 어린 ‘휘’를 연기할까 생각했어요. 하지만 연출 선생님의 의견에 따라 말은 줄이고 신비감과 깊이를 표현하기로 했어요. 또 청년 ‘휘’는 제 모습 그대로 연기하고, 나이가 들수록 목소리 톤과 말의 속도, 걸음걸이, 자세 등에서 변화를 줄 겁니다.”

23세의 푸른 나이에다 선이 곱고 부드러운 이미지로 뮤지컬계에 각인된 그이지만 실제 눈빛은 강렬하고 목소리에는 힘이 스며 있다. 이미지 변신에 대한 부담도 있을 법하건만 의외로 덤덤하다. “여리고 섬세한 이미지를 타고난 건 저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는 제 나이에 맞는 역할을 더 해보고 싶어요.” 그러면서도 변화를 향한 포부를 숨기지 않았다. “앞으로는 남성미 넘치는 역할이나 악역도 해 보고 싶어요. 아마 이번이 지금까지의 제 작품 중 가장 다양한 연기를 보여 드리는 무대가 될 겁니다.”

22~29일 서울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4만~8만원. (02)523-0986.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9-13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