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의 일상을 통해 본 도시의 자화상

연신내의 일상을 통해 본 도시의 자화상

입력 2013-11-06 00:00
업데이트 2013-11-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연소 일우사진상 수상 김태동 개인전

표범 무늬 하이힐에 파란색 웃옷과 핸드백으로 멋부린 사진 속 중년 여성의 모양새가 어딘지 심상찮다. 흐트러진 갈색머리를 살짝 올린 채 흰색 승용차의 문을 활짝 열고 내민 다리도 뇌쇄적이다. 또 다른 사진 속 풍경은 도심 변두리의 아련한 추억을 되살린다. 버스종점인 듯한 공터 뒤로 ‘터미널부동산’ ‘금거래소’ ‘인력모집’ ‘다방’ 등 흔치 않은 상호들이 빼곡하다. 멀쩡한 곳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낡은 골목길 담벼락 사이에선 살짝 튀어나온 배를 내밀고, 파자마 바지와 슬리퍼 차림으로 무표정하게 정면을 응시하는 20대 여성이 홀로 서 있다. 이곳에서만큼은 자연스러운 풍경이다.


최연소 일우사진상 수상 작가(2012년) 김태동(35)은 개인전 ‘데이-브레이크-데이즈’에서 30년 가까이 살아온 서울 은평구 연신내 일대를 가볍게 풀어놨다. 지난해 말 벼락 수상 이후 미 휴스턴 현대미술관이 작품을 소장하는 등 유명해진 그가 6개월가량 짬을 내 연신내를 배회하며 찍어 모은 도시의 자화상들이다. 작가에게는 매일 접하는 평범한 일상이지만 관객에겐 낮과 도시의 경계에서 마주한 주변인들의 낯선 모습일 따름이다. “예전 뉴욕 변두리 플러싱에서 작업할 때 1980년대의 서울 변두리를 빼닮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그곳 소수민족 거주지는 지금의 연신내를 떠올립니다. 그래서 부도심의 특성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속성을 더듬어 심리 지도처럼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작가의 머릿속에는 연신내에 거대한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부터 그곳에 자리하던 교회건물이 들어있다. 또 머리를 노랗게 물들인 고등학생이 어디서 시간을 보내고 뭐가 되고 싶어 하는지는 물론 검은 드레스를 차려입은 당구장 주인이 어떤 삶을 살아왔고 무엇을 포기했는지 담겨 있다. “겉과 속은 통한다고 할까요. 배달 일로 번 150만원으로 니콘90S 카메라를 샀고, 이후 사진에 빠졌습니다. 1990년대 말, 다니던 대학의 경영학과를 중퇴하고 사진학과에 재입학하는 사고를 쳤지요(웃음).”

사진학 석사까지 마친 그의 사진에는 공통점이 있다. 등장인물 대부분이 무표정하다. 익숙한 대상을 낯설게 보기 위한 기법일까. 그는 “인물이 너무 웃거나 찡그리는 걸 본능적으로 싫어한다”면서 “인물 섭외가 어려웠지만 연신내 대성고 출신이라고 밝히면 (친근감에)사람들이 포즈를 10분도 넘게 잡아 주곤 했다”고 말했다. 거리의 사냥꾼처럼 대상을 포착해 전통방식의 사진으로 재현한 작가의 작품들(27점)은 오는 12월 24일까지 서울 서소문동 일우스페이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1-06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