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색 아닌 갈색 병아리가 뭐 어때서…상상력 고갈된 국내 미술교육이 위기”

“노란색 아닌 갈색 병아리가 뭐 어때서…상상력 고갈된 국내 미술교육이 위기”

입력 2014-09-23 00:00
업데이트 2014-09-23 0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종식 홍익대 미대 교수 새달 31일까지 ‘본 보야지!’ 개인전

“딸이 초등학생 때 울면서 집에 돌아왔어요. 동급생들이 모두 병아리를 그렸는데 자기 그림만 벽에 걸리지 못했다고 하더군요. 이유가 궁금해 물었더니, 다들 병아리를 노랗게 그렸는데 자기만 갈색으로 그렸다고 했어요.”

이미지 확대
“미술은 상상이며, 상상력이 고갈된 국내 미술교육은 위기”라고 지적한 신종식 홍익대 미대 교수. 젊은 작가나 학생들이 미술사조를 좇지 말고 자신만의 독특한 미술세계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술은 상상이며, 상상력이 고갈된 국내 미술교육은 위기”라고 지적한 신종식 홍익대 미대 교수. 젊은 작가나 학생들이 미술사조를 좇지 말고 자신만의 독특한 미술세계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종식(56) 홍익대 미대 교수는 아쉬운 표정으로 이야깃거리를 끄집어냈다. “(미술에서) 똑같이 그리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며 대화를 이어가던 중이었다.

●“마음을 통째로 열고 상상의 나래를”

신 교수는 평소 학생들에게 “마음을 통째로 열고 주변의 모든 풍경을 받아들이라”고 가르쳐 왔다. 홍대 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1980년대 초반 프랑스 파리 국립미술학교로 유학을 간 뒤 그곳 지도교수에게 배운 교훈이다.

당시 그는 프랑스인 동기들보다 8세쯤 많았던 외국인 유학생에 불과했지만, 뛰어난 손감각으로 주목받았다. 지도교수의 관심 덕분에 무럭무럭 성장하던 시절이었다. 미술학교장이 파리 시내 유명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여는 조건으로 ‘발 그리기 공모전’을 연 것도 이때였다.

한 달 동안 엽서 크기인 1호짜리 캔버스 10점에 발을 주제로 그림을 그려 제출해야 했다. 그는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짜냈다. 예수와 부처, 공자 등 세계 문명사에 획을 그은 인물 10명을 꼽아 이들의 발을 펜화로 그려 제출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발을 실제처럼 표현해 그리는 식이었다. 주변에선 1등은 떼어 놓은 당상이라 했으나 결과는 처참했다. 130여명의 학생 가운데 꼴찌에 가까운 성적이 나왔다.

1등은 굵은 선으로 다양한 장화를 그려낸 학생이 차지했다. 초등학생의 낙서 같은 작품이었다. “미술가, 교수, 갤러리 관계자 등 심사위원들이 거의 만장일치로 1등 작품을 뽑았다고 하더군요. 이유를 물었더니 130여명의 학생 중 누구도 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는 겁니다. 어려서부터 루브르박물관 등에서 대작을 보며 커온 프랑스 학생들은 기술적인 면보다 상상의 나래를 펴는 데 더 집중했던 거죠.”

신 교수는 “한국 미대 학생들은 요즘 소위 돈 되는 흐름만 따라가려 한다”며 “한때 하이퍼리얼리즘이 유행하자 이를 따라 그리다가 지금은 다시 다른 흐름을 찾아 다니고 있다”고 비판했다.

●“돈 되는 흐름만 따라가려” 비판

어려서부터 건축학도를 꿈꾸던 그는 파리 국립미술학교와 파리 제8대학 대학원 유학시절 주변 요새나 성곽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그 모습을 사진에 담아왔다. 또 시험기간이면 도서관 대신 파리의 수도원에 들어가 공부하며 수도사들과 경험을 나눴다.

신 교수는 다음달 31일까지 서울 중구 정동 청안갤러리에서 개인전 ‘본 보야지!’(Bon Voyage!)를 이어간다. 단순히 잘 그리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지론만큼 자신이 두 눈으로 본 풍경을 캔버스 위에 꿈결같이 아련히 재현한 작품들이다. 별도의 드로잉도 없고, 미리 계산을 하지도 않았다. 그는 “순례자처럼 지나가고 여행자처럼 두리번거리며 사는 것, 그거야말로 좋은 삶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글 사진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9-23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