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윤동주가 즐겨 사용한 우리말, 전시로 만난다

시인 윤동주가 즐겨 사용한 우리말, 전시로 만난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10-10 10:00
업데이트 2020-10-10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비나미술관 ‘빅데이터가 사랑한 한글’
11월 14일까지 비대면 온라인 전시

진달래&박우혁 ‘하늘’. 사비나미술관 제공
진달래&박우혁 ‘하늘’. 사비나미술관 제공
나, 밤, 하나, 눈, 마음….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의 시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우리말 5개다. 윤동주의 시 124편을 빅데이터 통계기술인 텍스팅 마이닝 기술로 분석한 결과다. 하늘, 사람, 소리, 바람, 거리 등이 뒤를 이었다.

사비나미술관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한글주간 특별전으로 ‘빅데이터가 사랑한 한글’을 열고 있다. 윤동주의 시에서 뽑은 아름다운 우리말 20개를 주제로 11명 작가들의 회화, 조각, 설치, 영상 등 작품 18점을 모았다. 우리, 아침, 얼굴, 가을, 아이, 볕, 노래, 사랑, 달, 생각이 시인의 한글 시어 스무개에 포함됐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세대 윤동주기념사업회와 협업을 통해서 첨단 과학기술, 문학, 예술이 결합된 보기 드문 융·복합 전시다.

양대원 작가는 ‘나’의 자음과 모음을 분리해 독특한 3차원 공간으로 구성한 설치 작품을 만들었고, 예술공동체 ‘진달래&박우혁’은 글자 ‘하늘’을 자신들만의 타이포그래피로 구현해 시각적 새로움을 선사한다. 황선태는 윤동주의 육필원고 ‘서시’의 이미지를 아크릴에 자외선 특수기법으로 인쇄한 작품을 출품했다. 유일한 외국작가인 테리 보더는 ‘얼굴’의 자음과 모음 한글 블록 조각을 조립해 얼굴 모양을 완성한 ‘얼굴 만들기’를 선보인다. 이외에 고명근, 김신일, 장준석, 최현주&이종호&김한호가 참여했다.
황선태 ‘빛이 된 글자들’. 사비나미술관 제공
황선태 ‘빛이 된 글자들’. 사비나미술관 제공
전시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미술관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에서 VR 전시와 온라인피드 전시로 만날 수 있다. VR 전시는 360도 파노라마촬영기법을 이용해 관람을 원하는 작품으로 이동이 쉽고, 온라인피드 전시는 슬라이드 형태로 동영상과 이미지를 상하 좌우로 넘기며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11월 14일까지 열린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