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관객 20명 이하 극장 개봉 왜?… VOD 몸값 올리기 ‘꼼수’

누적관객 20명 이하 극장 개봉 왜?… VOD 몸값 올리기 ‘꼼수’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0-03 19:44
업데이트 2022-10-0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영 10회 이하 영화 급증 추세
‘개봉 VOD’ 가 1만 4000원 비싸

극장 개봉작이 인터넷TV(IPTV)에서 더 비싸다는 점을 노려 짧은 개봉만 하고 IPTV로 넘어가는 ‘꼼수 개봉’이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IPTV방송협회에서 제출받아 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10회 이하 상영’ 영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 54.81%였던 것이 2019년 59.08%로 늘었고 2020년 62.55%, 2021년 61.96%, 올해는 개봉 예정작까지 포함해 68.03%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극장가는 한산해졌지만 개봉작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들 작품 중 상당수가 누적 관객 수 20명 이하다. 올해 개봉했거나 개봉을 앞둔 영화 1251편 가운데 누적 관객 20명을 넘지 못한 작품은 794편(63.46%)에 달했다. 심지어 관람객이 단 한 명인 작품도 543개(43.40%)로 나타났다.

개봉작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수준의 영화들이 극장을 거치는 이유는 ‘극장 동시상영작’ 타이틀을 달 경우 IPTV에서 일반 주문형 비디오(VOD)보다 더 비싸게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런 작품들은 IPTV에서 극장 동시상영작 타이틀을 달고 VOD보다 비싸게 판매됐다.

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등 IPTV 3사의 VOD 가격 현황을 살펴보면 극장 개봉 동시상영작 VOD는 1만 1000~1만 6500원 사이로 판매됐다. 그렇지만 일반 영화 VOD 판매가는 1540~1만 1000원이다. 극장 동시상영작 이름을 내건 VOD가 IPTV에서 일반 VOD보다 최대 1만 4000원 정도 비싸게 팔리는 셈이다.

전 의원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IPTV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한 이면에는 이 같은 꼼수 개봉이라는 불공정 영업 행태가 있었다”며 “그 피해는 결국 일반 소비자들이 보게 되는 만큼 업계의 자정 활동과 함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반드시 검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기중 기자
2022-10-04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