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침한 화면, 끝없는 잡담… 불편하고 불친절한 1시간… 홍상수의 관객모독[지금, 이 영화]

침침한 화면, 끝없는 잡담… 불편하고 불친절한 1시간… 홍상수의 관객모독[지금, 이 영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4-12 00:16
업데이트 2023-04-12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안에서’

흐릿한 화면에 눈이 침침해진다. 이야기는 무엇을 말하려는지 종잡기 어렵다. 1시간 분량밖에 되질 않는데도 보는 내내 불편하다. 12일 개봉하는 홍상수 감독의 ‘물안에서’는 형식도, 내용도 난감한 영화다.
이미지 확대
영화 ‘물안에서’
영화 ‘물안에서’
영화는 단편영화를 연출하겠다며 어느 날 갑자기 제주도로 내려온 배우 지망생 성모(신석호)의 이야기다. 그는 영화를 함께 전공한 또 다른 남자(하성국)와 여자 후배(김승윤)를 불러 숙식을 제공하고 함께 영화를 만들기로 한다. 그런데 성모는 무엇을 찍을지조차 정하지 못했다. 영화 촬영에도 진전이 없다. 그러다 바닷가에서 혼자 쓰레기를 줍는 여자를 만나 대화를 나누고, 이를 토대로 영화를 찍는다.

영화는 첫 부분만 제외하고 이후 화면을 의도적으로 뭉갰다. 그래서 배우들 얼굴이나 표정을 파악할 수 없다. 목소리와 대사로만 이해해야 한다.

화면이 흐릿하니 대사가 좀더 잘 들리는 느낌이 들지만, 영화 내내 의미 없는 잡담이 이어진다. 그나마 남자가 성모에게 ‘영화를 왜 찍느냐’고 물었을 때 “명예를 위해 찍는다”고 말하는 장면으로 주제를 어렴풋이 파악할 수 있다. 누군가는 이를 두고 상업성에 연연하지 않는 홍 감독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겠다. 그러나 구성 자체가 치밀하지 못한 데다, 성모의 행동을 이해하기 어려워 그저 헛웃음만 유발할 뿐이다.

쓰레기 줍는 여자와 대화를 나눈 성모가 영화를 찍기로 결심하고, 남자와 여자 후배에게 영화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하는 부분도 개연성이 크게 떨어진다. 관객을 지루하게 해 놓고 괴상한 결말에 이르는데, 처음부터 쌓아 온 게 탄탄하지 않아 한없이 거칠다는 생각을 떨치기 어렵다.

영화에 관한 해석은 오로지 독자의 몫으로 남겼지만, 안타깝게도 영화는 관객이 이해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실마리도 주지 않은 채 혼자 끝을 맺는다. 결말 이후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갈 땐 피로감이 물밀듯 몰려온다. 불친절함으로 유명한 홍 감독이지만, 이번 영화는 이를 넘어 관객을 모독한다는 느낌마저 든다. 관객과 동떨어져 혼자만의 예술을 하더라도 나름의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 관객을 상대로 실험하는 듯하다. 평소 홍 감독 영화를 너그러이 대하던 이들이라도 이번 영화는 꽤 불편할 수 있다.

홍 감독은 지난해 4월 제주도에서 10일 동안 6회차로 영화를 찍었다. 배우 김민희는 주인공 전 여친 역을 맡아 목소리로 잠깐 등장한다. 61분. 12세 이상 관람가.
김기중 기자
2023-04-12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