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마에스트로는 나’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

‘내일의 마에스트로는 나’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8-13 15:36
업데이트 2023-08-28 2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에서 다비트 라일란트(왼쪽) 예술감독이 참가자인 박근태에게 지휘법을 알려주고 있다. 국립심포니 제공
11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에서 다비트 라일란트(왼쪽) 예술감독이 참가자인 박근태에게 지휘법을 알려주고 있다. 국립심포니 제공
“호른 선생님 마지막에 스타카토 조금만 짧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 아홉 번째 마디 가겠습니다.”

지난 11일 서울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 지휘를 잠시 멈췄던 박근태(32)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들을 향해 몇 가지 주문사항을 전달했다. 다시 지휘를 시작한 그의 모습을 국립심포니 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44)가 매의 눈으로 지켜본 후 조언을 건넸다.

차세대 마에스트로를 키우는 제2회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이 8~12일에 걸쳐 진행됐다. 지난 6일 윤한결(29)이 한국인 최초로 ‘카라얀 젊은 지휘자상’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젊은 지휘자들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가운데 열린 이 행사는 마스터 클래스, 비디오 피드백, 지휘자 역할 교육 등을 통해 세계적인 지휘자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프로젝트로 관심을 모았다.

지난해 7.5:1의 경쟁률이 올해는 3명 선발에 41명이 지원해 13.7:1로 높아졌다. 박근태와 이해(32), 김리라(31)가 치열한 경쟁을 뚫었다.

라일란트는 “20년 전에는 하루 15분 포디움에 서서 지휘해보려면 2000유로(약 291만원)가 들었고, 열악한 시설에서 1년에 한 번 해보는 것도 좋은 기회였다”고 떠올렸다. 그는 “젊은 지휘자들은 샅샅이 악보를 공부해도 지휘를 시작하면 세 마디 만에 깜짝 놀라는 게 대부분”이라며 “아무리 공부해와도 사람을 대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단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라이브로 접할 기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8~12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에서 다비트 라일란트(왼쪽 세 번째) 예술감독이젊은 지휘자인 이해(왼쪽부터), 김리라, 박근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립심포니 제공
8~12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지휘자 워크숍에서 다비트 라일란트(왼쪽 세 번째) 예술감독이젊은 지휘자인 이해(왼쪽부터), 김리라, 박근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립심포니 제공
세 지휘자 모두 프로 오케스트라를 지휘할 소중한 기회를 십분 활용했다. 영어와 한국어를 번갈아가며 자신의 음악적 방향성을 이야기했고 단원들이 그에 맞춰 연주했다. 피드백을 받고 지휘를 바꾸자 연주도 조금씩 달라지는 게 보였다. 김리라는 “여러 템포를 시도해봤다. 어제(10일) 피드백을 받고 오케스트라와 소통할 방법을 연구하고 다시 도전했는데 원하는 게 전달이 됐다”고 웃었다. 이해는 “훌륭한 오케스트라와 작업해서 문제가 생기면 지휘자로부터 생길 가능성이 높다. 지휘하면서 잘 안됐던 부분이 제 잘못인 걸 깨달을 수 있었고 그걸 개선해보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외국에선 이런 기회가 그나마 있지만 한국에선 문이 좁다. 박근태는 “잘하는 오케스트라를 만나면 이미 연주가 완벽하다”면서 “프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려면 그 다음 레벨의 것이 필요하다. 맞추는 게 전부가 아니라 음악적인 영감을 줘야하고 높은 것을 추구하고 보여줘야해서 이런 기회가 소중하다”고 말했다.

종합평가를 거쳐 우승은 박근태가 차지했다. 라일란트는 “음악성, 지휘 테크닉, 노련한 경험으로 우승자를 선정했다. 박근태 지휘자는 이 세 가지의 균형이 잘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박근태는 “젊은 지휘자로서 프로 오케스트라를 연주해볼 기회가 적었는데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면서 “워크숍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 앞으로 지휘자로서의 삶을 지키겠다”고 했다. 그는 23일 독일 베를린으로 돌아가 노이에 필하모니 베를린 오케스트라와의 공연을 준비할 예정이다.

이해는 “9월 프랑스 브장송 지휘 콩쿠르 결선 무대를 앞두고 있다”면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게 했다. 김리라는 “다시 베를린으로 돌아가 학업에 복귀할 계획이다. 더욱 성장해 좋은 소식 많이 전하겠다”고 다짐했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