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2>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2>

입력 2013-06-11 00:00
업데이트 2013-06-11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반수 어른께서 수령을 찾아가 병장기를 빌려 쓰게 조처한 것은 다른 비책이 있었기 때문이야. 소문으로 퍼뜨리지 않아도 적굴에서 풀어놓은 간자들이 냉큼 눈치채고 말았을 터, 그렇게 되면 저들은 필경 몸을 사리고 몇 군데의 은신처로 둔적하여 당분간 숨죽이고 지내겠지. 반수 어른께서 대낮에 여봐란듯이 소매에 바람을 일으키며 아문을 찾아간 것은 그런 숨은 뜻이 있었네. 질청의 썩어 빠진 아전이나, 더그레 입은 수자리 들 중에는 필경 적당과 은밀히 내통하며 구린 돈을 챙겨 온 자들이 있었을 것이야. 우리가 통문을 돌리고 병장기를 빌려 적당들을 섬멸하거나 등시 색출하고 나면 육방 아전이며 군교 들이 벌떼같이 일어나 병장기 빌려 준 생색을 내며 너도나도 손을 벌릴 게 뻔하지 않은가. 구린내 등천하는 그들에게 수십 냥씩 속절없이 뜯기다 보면 우리 접소에서 애면글면하며 모아 둔 돈주머니는 순식간에 거덜나고 말겠지. 거절하면 당장 죄안을 날조하여 우리를 잡아먹고 말 테지…. 그래서 지금 우리의 처지는 궤상육(机上肉)이나 다름없네. 상단의 전대를 노리는 것들이 어디 적굴 놈들뿐이겠나. 사방에 깔려 있다는 것을 명심하게.”


“그 모두가 반수 어른과 성님의 계책이었다는 말씀입니까?”

“그렇다네….”

“그 계책이 무엇입니까.”

“귀를 좀 빌리세.”

정한조에게 귀를 빌려 준 곽개천의 표정은 자못 심각하였다. 그는 때때로 정한조에게 되물어 가면서 계책을 귀담아 듣고 난 다음 손으로 구레나룻을 쓰다듬으며,

“그 계책이 그대로 들어맞기만 한다면 본때 있게 설분할 수 있겠습니다.”

“설분한다는 생각이 앞선다면, 일을 그르칠 수도 있네. 십이령길을 넘나드는 길손과 원상 들이 복물을 털리거나 손명(損命)당하지 않고 고개를 넘나들고, 해안가 염호와 흥부와 내성의 원상 들이 어육지변을 당하지 않고 안녕을 지킬 수 있다는 명분을 생각하게.”

“성님, 명심하겠습니다.”

“우선 침착하게. 잠깐 딴전을 판다든지, 굴레 벗은 당나귀처럼 괄괄하게 굴었다간 칼 물고 뜀뛰기로 언제 저승사자에게 끌려갈지 장담할 수 없네. 내가 짐작하기로는 적굴의 두령이란 자의 식견과 술수가 남달라 나 같은 떠돌이 행상 하나쯤은 순식간에 잡아먹을 수 있는 계략과 완력을 가졌을 것이야. 천하를 호령하였다던 진시황도 속절없이 흙이 되는데, 나 같은 천출이야 흙 되는 게 두려울 것은 없지만, 적굴 놈들 소탕에 실패하고 행중 식구 한둘이라도 저승사자에게 끌려가는 신세 될까 그게 걱정일세.”

“성님께서는 그런 말씀 하지 마십시오. 각성바지에 제 잘난 맛에 사는 위인들이지만 해로동혈하는 사이 아닙니까. 아무리 구차한들 성님에게 그런 수치가 돌아가지 않도록 계략을 짜겠습니다.”

“계략대로 일을 진행하자면, 적굴 밖에서 삼삼오오 패거리를 지어 다니는 산적들을 찾아내어 하나하나 순식간에 제거해 나가야 하겠는데…. 그렇게 되면 어느 놈이 산적인지, 어느 놈이 왈패인지 흰죽에 콧물 빠뜨린 격이 되어서 본색을 찾아내기 힘들 것이야.”

“성님 염려 붙들어 매시지요. 시생에게는 손쉬운 일입니다.”

2013-06-11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