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하면 결국 떠나더라… 지금 여기서 행복 찾아야”

“소유하면 결국 떠나더라… 지금 여기서 행복 찾아야”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4-11 01:08
업데이트 2023-04-11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클래식 음악·연극 컬래버 ‘나를 찾아서’ 주연 남명렬

이미지 확대
남명렬. 롯데콘서트홀 제공
남명렬. 롯데콘서트홀 제공
“전에도 클래식과 컬래버하는 작업을 한 적이 있어요. 어떤 방식이든, 어떤 형태든 무대에 설 기회를 갖는다는 건 늘 즐거운 일입니다.”

연극배우가 클래식 콘서트홀에 선다면 어떤 무대가 만들어질까. 지난해와 올해 연극 ‘두 교황’, ‘오펀스’ 등의 작품에 출연했던 배우 남명렬(64)이 이번에는 클래식 음악과 연극이 만나는 공연을 선보인다. 오는 14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나를 찾아서’는 동명의 연극과 음악이 만난 색다른 작품이다.

‘나를 찾아서’에서 남명렬은 주인공 제이의 나이 든 역할을 맡았다. 제이는 행복을 찾기 위해 파랑새를 좇는다. 유년 시절에는 보는 것에서 만족했지만 청년 시절엔 파랑새를 소유하려는 욕망을 갖게 된다. 중년이 된 제이가 결국 파랑새를 놓아 주면서 진정한 행복에 대해 깨닫는 이야기다.

남명렬은 “파랑새는 내가 정말 사랑하고 좋아하는 것들을 상징한다”면서 “소유하고 나면 내가 진짜 좋아했던 것이 오히려 나에게서 떠날 수 있다. 나이가 든 다음에 관조해서 바라볼 때 결국은 각자로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가장 큰 행복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명렬은 “사람들은 과거에 집착하거나 미래를 걱정하며 불행을 자처할 때가 있다”면서 “지금 나는 여기에서 무엇을 하고 어떤 행복을 느낄 것인지가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가 보기에 현대인들은 스스로를 지나치게 착취하면서 지금의 행복을 돌아볼 여유를 종종 잃는 삶을 살고 있다.

자기 착취에 대해 경계하지만 막상 배우라는 직업은 예술을 위해 자기 역량을 극한까지 몰아붙이게 된다. 다행히도 남명렬은 끊임없는 자기 객관화를 통해 스스로를 착취하지 않는 선을 지키고 있다. 제약회사 직원으로 일하다 30대 중반에서야 전업 배우 생활을 시작해 여러 어려움을 겪으면서 연기에 대해 깊이 바라볼 수 있는 내공이 생긴 덕이다. 요즘의 행복은 서재에 앉아서 책을 읽는 일이라고 한다.

‘나를 찾아서’는 음악과 연극이 각각 행복을 찾는 여정을 표현한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모차르트의 ‘디베르티멘토 내림B장조 K.137’ 등 클래식 곡이 연주되는 동안 연극은 진행되지 않고, 반대도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기존과는 색다른 형태다.

남명렬은 “음악은 실제 언어가 아닌 상징어인데 어떤 주제를 이야기하고 싶은지 구체적인 언어로 표현하면 받아들이는 분들이 훨씬 쉽고 빨리 공감하며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단한 것처럼 포장해 얘기했는데 그 포장이 속 빈 강정의 금빛 포장이 안 되도록 노력할 테니 기대해 달라”고 전했다.
류재민 기자
2023-04-11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