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전은 시대의 인물을 되살리는 것”

“평전은 시대의 인물을 되살리는 것”

입력 2010-02-06 00:00
업데이트 2010-02-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죽산 조봉암 평전’ 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김삼웅(67) 전 독립기념관장의 필력은 무서울 정도다. 그의 이름으로 1년에 책 1~2권씩은 꼬박꼬박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근거없는 출력’은 결코 아니다. “오래 숙성된 것을 이제서야 정리해 낸다.”는 그의 말처럼, 이를 위해 그는 30년이 넘는 시간을 준비해 왔다.

이미지 확대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역사가 기억해야 할 인물에 대한 평전 집필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역사가 기억해야 할 인물에 대한 평전 집필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


최근에도 ‘죽산 조봉암 평전’(시대의창 펴냄)과 ‘한국현대사 다이제스트100’(가람기획 펴냄)을 잇따라 펴낸 그를 지난 4일 경기 남양주 와부읍 자택에서 만났다. 사방이 책으로 빼곡히 들어찬 거실에서 그는 “좋은 포도주를 하나 담그려면 50~100년 전부터 숙성을 준비해야 하듯 이 책들을 위해 나는 오래 전부터 자료를 모으고 고민을 했다.”며 입을 열었다.

●저서 30여권 중 10권이 평전

서울신문(당시 대한매일) 주필, 독립기념관장 등에 이어 지난해말 친일파진상규명위원회 일이 끝나면서 그는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발목을 붙잡는 일이 없어졌으니, 이제는 군사독재-신군부에 맞섰던 야당 언론인 시절부터 역사의 정의를 위해 뛰어다녔던 때까지 보고 듣고 생각한 것들을 마음껏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김 전 관장의 표현을 빌리면 그는 ‘전업 평전 작가’다. 지금까지 펴낸 30여권의 책들 중에도 평전이 10권에 이른다. 식민지 조선의 아나키스트 박열부터 시작해, 안중근, 전봉준, 한용운, 김구, 신채호 등 그 이름들도 쟁쟁하다.

이렇게 평전에 몰두하는 이유는 뭘까. 그는 “평전은 시대를 가장 투철하게 살다간 사람들을 되살리는 작업이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그는 평전을 통해 “지난 100년간 식민지와 독재 아래서 치열하게 살았던 선각자들의 이상을 청년들에게 알리고 싶다.”고 한다.

그가 평전 작업에 뜻을 둔 건 30대 초반. 친일파가 독재자의 곁에서 전횡을 일삼는 것을 보고 “과연 역사에 정의라는 게 있는가.”하고 회의에 빠져있을 때였다. 그러던 중 E. H 카가 쓴 도스토옙스키 평전을 보고, “바른 사상을 가지고 또 이를 실천한 거대한 인물을 한 권 책에 오롯이 담을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한다.

●DJ·리영희 평전도 준비

그때 그는 예순이 되기 전에 역사의 정의를 실천한 인물 20명의 평전을 쓰겠노라 다짐했다. 지난 10명도 그렇지만 앞으로의 10명도 모두 바른 생각을 바탕으로 올바른 실천을 추구한 인물들이다. 그는 “인권이 침탈 당하는데, 학문에만 몰두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지식인일지는 몰라도 지성인은 아니다.”고 꼬집는다.

그의 평전 릴레이는 이제 절반을 지났다. 앞으로도 쟁쟁한 인물이 기다리고 있다. 곧 6·15남북선언 10주년을 맞아 나올 것이 지난해 세상을 떠난 김대중 전 대통령의 평전. 지금은 한창 리영희 선생 평전을 준비하고 있다. 사실 그도 이들 인물들이 평가 불변의 영웅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훗날 시대 상황에 따라 다른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안다. 하지만 그는 “사람에 대한 평가는 변해도, 이들이 추구했던 가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그가 마지막으로 평전을 쓰겠다는 인물은 다산 정약용이다. 그는 정약용을 “타락한 정치 속에서도 백성을 위한 민주주의를 투철히 실천했던 인물”이라면서 “사람은 170여년 전에 죽었지만 그의 목민(牧民) 사상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했다.

그의 거대한 책장 한편은 모두 다산의 자료다. 4000권에 이르는 장서 중 불이 나면 가장 먼저 가지고 나오고 싶은 것도 ‘목민심서’라고 한다. 또 그의 작업실 창밖으로는 한강이 보인다. 그 너머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묘소가 있다.

글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06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